사진=연합뉴스
사진=연합뉴스
국민의힘이 위성정당의 이름을 '국민의 미래'로 확정했다. 또 중앙당 200여명의 발기인을 모아 창당을 공식화했다. 권역별 병립형 비례 대표제 회귀를 저울질하고 있는 더불어민주당의 결정을 압박하기 위해 여당이 더욱 속도를 내고 있다는 평가다.

31일 여당 관계자에 따르면 국민의힘은 이날 온라인으로 위성정당 발기인 대회를 열었다. 당명은 가칭 '국민의미래'로 확정했다. 선거법상 신당 창당을 하려면 중앙당 200명 이상, 시·도당 100명 이상의 발기인을 모아야 한다. 국민의힘은 당직자 등을 중심으로 200명 이상의 동의를 받았고, 이날 과반수인 100명 이상이 발기인 대회에 참여한 것으로 알려졌다. 시·도당도 조만간 발기인 접수를 마치고 별도의 발기인대회를 열어 정식 창당한다는 계획이다.

앞서 국민의힘은 현 준연동형 비례대표제가 유지될 가능성을 고려해 지난주 위성정당 창당 작업을 본격화한 바 있다. 국민의힘이 주장해 온 병립형은 정당 득표율에 비례해 정당별로 의석을 나눈다. 반면 연동형 비례제(준연동형 포함)는 지역구에서 정당 득표율만큼 의석을 채우지 못하면 비례대표에서 그만큼 의석수를 채워준다.

군소정당은 정당 득표율로 의석을 더 얻을 수 있지만, 거대 정당은 의석수를 잃게 된다. 21대 총선에서 연동형 비례제를 택한 것도 국회의 다양성을 높이자는 차원이었다. 그러나 여야 모두 위성정당을 만들어 총선에 나서면서 '페이퍼 정당'이 난립해 기존 병립형과 큰 차이가 없는 모양새가 됐다.

민주당은 권역별 병립형 비례제도 도입으로 절충안을 마련하는 방안에 무게를 싣고 있지만, 아직 공식화하지 못하고 있다. 임혁백 민주당 공천관리위원장이 제안한 권역혈 병립형 비례제는 전국을 3권역(수도권, 중부권, 남부권)으로 나눠 병립형을 적용하되, 비례 의석 47개중 30%(15개)는 소수 정당 몫으로 떼어놓는 안이다.

거대 정당 입장에서는 의석수 손실을 줄이면서 명분과 실리를 어느 정도 챙길 수 있는 안이다. 국민의힘 지도부도 병립형 비례제 회귀가 원칙이지만, 권역별 병립형 비례제 도입에는 합의할 수 있다고 밝힌 바 있다.

이날 신년 기자회견을 연 이재명 민주당 대표는 "(비례대표제는) 많은 분들이 관심을 가지고 계신 사안이고, 어쩌면 이해관계도 좀 있을 수 있는 일이어서 신중하게 의견을 수용 중"이라고 말했다. 그러나 거대 양당이 결국 총선 전 권역별 병립형 비례제도에 합의할 것이라는 게 정치권의 평가다.

정소람 기자 ram@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