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리콘밸리 스타트업 업계는 혹독한 2023년을 보냈습니다. 경기 위축으로 인한 실적 악화에 고금리가 야기한 투자 가뭄이 겹친 여파입니다. 실리콘밸리의 주요 한인 스타트업도 ‘투자 한파’를 비켜 갈 순 없었습니다. 한국경제신문은 2024년 새해를 맞아 어려움 속에서도 묵묵히 제 자리를 지킨 한국 스타트업 최고경영자(CEO) 7인을 인터뷰했습니다.
사진=최진석 특파원
사진=최진석 특파원
“반려동물은 물론 사람도 인공지능(AI) 기술로 암을 극복할 수 있습니다.”
임성원 임프리메드 대표(사진)는 28일(현지시간) 한국경제신문과의 인터뷰에서 이같이 말했다. 그는 “신약 개발만큼이나 중요한 것이 기존 약물 중 환자에게 가장 효과가 좋은 것을 찾아내는 것”이라며 “AI를 활용해 맞춤형 의학을 혁신하겠다”고 했다.

임프리메드는 맞춤형 의학에 AI 기술을 접목한 스타트업이다. 환자의 암세포를 직접 검사해 약물에 대한 반응을 미리 시험해보고 가장 적합한 치료제를 찾는 것을 도와준다. 임 대표는 서울과학고와 KAIST를 거쳐 바이로메드(현 헬릭스미스)에서 4년간 근무한 뒤 미국 유학길에 올랐다. UC버클리대 석사, 스탠퍼드대학에서 단백질 기반 항암치료제 관련 박사 학위를 취득한 후 2017년 5월 창업 전선에 뛰어들었다.

임 대표의 창업에 그의 은사인 이상엽 KAIST 교수(연구부총장)가 길잡이 역할을 했다. 임 대표는 “교수님이 ‘의사는 평생 살릴 수 있는 환자 수가 정해져 있지만, 생명공학자가 되어 새로운 기술이나 신약을 개발하면 수많은 사람을 살릴 수 있다’고 조언해주셨다”며 “생명공학자의 길을 걷기로 결심한 계기”라고 설명했다.

임 대표의 당초 계획은 암 환자들의 빅데이터를 분석해 최적의 치료제 조합을 찾는 기술을 개발하는 것이었다. 하지만 예상과 달리 암 환자 샘플을 확보하는 게 쉽지 않았다. 병원에서 개인정보보호 등의 이유로 제공을 거부했기 때문이다. 임 대표는 “어쩔 수 없이 방향을 틀어 데이터를 구하기 쉬운 반려동물부터 시작했다”며 “2018년 강아지 혈액암 샘플을 구해서 약물 추천 서비스 시작했고, 2021년부터 매출이 발생했다”고 말했다.

강아지의 경우 혈액암 빈도가 상당히 높다. 전체 암의 20~30%가 혈액암의 일종인 림프종이다. 임 대표는 혈액암에 집중해 솔루션을 개발했다. 현재까지 5300마리의 반려견 데이터 확보했다. 이를 AI로 검증해 치료 예측 리포트 작성했고, 해외 유수 저널에 논문을 게재하며 주목받았다.
사진=최진석 특파원
사진=최진석 특파원
임 대표는 “자체 개발한 솔루션을 통해 반려견들의 암 재발 기간이 기존 1~1년 반에서 3년으로 늘어나는 성과를 냈다”며 “현재 미국 전역 동물병원 250여곳과 네트워크를 맺고 혈액암에 걸린 반려견에 대한 효과적인 항암제를 분석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작년 10월엔 강아지에 이어 고양이 혈액암 솔루션도 출시했고, 지난 25일 한국에서도 반려동물에 대한 암 치료 서비스를 론칭했다. 임 대표는 “한국에서도 충분히 가능성이 있다고 판단했다”며 “내년에 일본에도 진출하는 것이 목표”라고 설명했다.

올해는 사람에 대한 암 치료제 예측 기술 개발에도 속도를 낼 예정이다. 현재 한국의 서울성모병원, 서울대, 울산대, 인하대, 경상국립대, 서울아산병원 등 7개 병원과 협력하고 있다. 미국의 경우 메이요클리닉과 협력 체계를 구축했다. 임 대표는 “미국에선 2025년, 한국에선 6년 후인 2030년 암 환자에 서비스 시작한다는 로드맵을 세웠다”고 말했다.

이 회사는 작년 11월 300억원 규모의 시리즈A 투자도 마쳤다. 여기엔 소프트뱅크벤처스와 SK텔레콤, KDB실리콘밸리, 삼양화학그룹 등이 참여했다. 현재까지 총 누적 투자금액은 450억원이다. 임 대표는 “창업은 자신의 가치관을 실현하는 최적의 길”이라며 “더 많은 사람의 생명을 살리자는 좌우명이자 사훈을 실천하기 위해 끊임없이 나아갈 것”이라고 강조했다.

실리콘밸리=최진석 특파원 iskra@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