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학력男·고학력女 결혼 안한다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한은 "노동공급 감소에 영향"
결혼이 늦어지면서 20대 남녀의 미혼 비율이 90%를 넘어선 것으로 나타났다. 남성은 저학력, 여성은 고학력자가 결혼하지 않고 있는 것으로 파악됐다.
8일 한국은행이 발표한 BOK이슈노트 ‘미혼 인구 증가와 노동 공급 장기추세’ 보고서에서 정선영 조사국 과장과 한지우 조사역이 분석한 결과다.
한국의 미혼율은 2020년 기준 31.1%로 나타났다. 2000년 27.9%에서 3.2%포인트 증가했다. 이 기간 초혼 연령이 남성은 29.3세에서 33.7세로, 여성은 26.5세에서 31.3세로 각각 늘어나는 등 늦은 결혼(만혼) 현상도 심화됐다. 이에 따라 20대 미혼율은 71.1%에서 92.8%로 급상승했다. 학력 수준별로 보면 남성은 저학력에서, 여성은 고학력에서 미혼율이 높았다. 올해 1~11월 30~54세의 미혼 비중을 파악한 결과 저학력 남성은 30.9%로 고학력 남성(27.4%)보다 3.5%포인트 높았다. 반면 여성은 고학력 여성의 미혼 비중이 28.1%를 기록해 저학력 여성(15.9%)의 두 배에 가까운 수준을 나타냈다.
미혼율 증가는 노동 공급 감소로 이어지는 것으로 분석됐다. 미혼 남성은 기혼 남성에 비해 일을 적게 하는 반면 미혼 여성은 기혼 여성에 비해 일을 많이 했다. 두 효과를 종합하면 미혼 남성으로 인한 노동 공급 감소 효과가 더 컸다.
중장기적으로는 미혼율 증가가 출산율 하락으로 이어져 경제활동참가율이 내려갈 것으로 전망됐다. 30년 후 미혼 비중이 현재의 두 배 수준(남성 60%, 여성 50%)으로 확대될 경우 경제활동참가율은 2031년 79.7%를 정점으로 하락세가 시작된다.
강진규 기자 josep@hankyung.com
8일 한국은행이 발표한 BOK이슈노트 ‘미혼 인구 증가와 노동 공급 장기추세’ 보고서에서 정선영 조사국 과장과 한지우 조사역이 분석한 결과다.
한국의 미혼율은 2020년 기준 31.1%로 나타났다. 2000년 27.9%에서 3.2%포인트 증가했다. 이 기간 초혼 연령이 남성은 29.3세에서 33.7세로, 여성은 26.5세에서 31.3세로 각각 늘어나는 등 늦은 결혼(만혼) 현상도 심화됐다. 이에 따라 20대 미혼율은 71.1%에서 92.8%로 급상승했다. 학력 수준별로 보면 남성은 저학력에서, 여성은 고학력에서 미혼율이 높았다. 올해 1~11월 30~54세의 미혼 비중을 파악한 결과 저학력 남성은 30.9%로 고학력 남성(27.4%)보다 3.5%포인트 높았다. 반면 여성은 고학력 여성의 미혼 비중이 28.1%를 기록해 저학력 여성(15.9%)의 두 배에 가까운 수준을 나타냈다.
미혼율 증가는 노동 공급 감소로 이어지는 것으로 분석됐다. 미혼 남성은 기혼 남성에 비해 일을 적게 하는 반면 미혼 여성은 기혼 여성에 비해 일을 많이 했다. 두 효과를 종합하면 미혼 남성으로 인한 노동 공급 감소 효과가 더 컸다.
중장기적으로는 미혼율 증가가 출산율 하락으로 이어져 경제활동참가율이 내려갈 것으로 전망됐다. 30년 후 미혼 비중이 현재의 두 배 수준(남성 60%, 여성 50%)으로 확대될 경우 경제활동참가율은 2031년 79.7%를 정점으로 하락세가 시작된다.
강진규 기자 josep@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