⅓은 1년·11%는 1개월 이내 사망… "조기개입·치료 중요"
"우울장애 앓던 자살자들, 진단부터 사망까지 평균 4.5년"
우울장애 진단을 받은 자살사망자들이 진단부터 사망에 이르기까지의 기간이 평균 4.5년에 불과하고, ⅓은 진단 후 1년 이내에 사망한 것으로 나타나 조기 진단과 개입이 중요하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31일 한국생명존중희망재단의 '우울장애 진단-자살사망 기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연구' 보고서에는 이같은 내용이 게재됐다.

연구진은 2015년부터 2022년까지 재단이 시행하는 '심리부검 면담'을 통해 수집된 자살사망자 자료 중 사망 전 우울장애 진단과 약물 치료를 받은 적이 있는 210명의 자료를 분석했다.

심리부검은 재단이 면담을 희망하는 자살 사별 유족을 대상으로 진행하며 유족의 진술과 관련 기록을 통해 고인의 죽음에 영향을 미친 다양한 요인을 조사하는 방법이다.

분석 결과 연구 대상자가 평균적으로 우울장애 진단을 받고 사망에 이르기까지 걸린 기간은 53.42개월이었다.

전체의 11%인 23명은 우울장애 진단을 받고 1개월 내에, ¼인 54명은 6개월 내에, ⅓인 81명은 1년 이내에 자살사망한 것으로 나타났다.

"우울장애 앓던 자살자들, 진단부터 사망까지 평균 4.5년"
연구진은 선행연구에서 우울장애 환자의 자살 위험을 높인다고 알려진 위험 요인별로 기간에 차이가 있는지 확인하기 위한 분석도 시행했다.

분석에 따르면 사망 전 직업과 경제 스트레스가 있었던 집단은 그렇지 않은 집단에 비해 우울장애 진단에서 사망까지 걸린 기간이 짧았던 것으로 나타났다.

사망 3개월 전 불안·초조 등 불안장애 관련 증상과 수면의 어려움 경험 여부도 진단에서 사망까지의 기간에 유의한 영향을 끼친 것으로 조사됐다.

해당 증상을 겪은 자살사망자들은 진단 이후 사망에 이르는 기간이 그렇지 않은 이들보다 짧았다.

연구진은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우울장애에 대한 지속적인 조기 개입을 위한 치료 환경을 조성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1차 진료 담당 의사를 대상으로 자살 교육과 훈련을 실시하고, 환자를 우울장애 클리닉으로 연계해 항우울제 처방을 신속히 허용하는 정책으로 국가 자살률을 낮춘 헝가리의 사례를 참고할 것을 제언하기도 했다.

또 불안·수면 문제를 호소하는 환자들을 고위험군으로 선별해 각별히 관리하고, 직업과 경제적 문제를 줄일 수 있는 사회경제적 보호망을 확충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연구진은 덧붙였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