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0년 뒤 우리나라 인구, 3600만명대 추락 전망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앞으로 50년간 우리나라의 총인구가 1550만명가량 급감하면서 3600만명대에 머물 것이라는 전망이 나왔다.
14일 통계청이 발표한 '장래인구추계: 2022~2072년'에 따르면 우리나라 총인구는 이미 2020년 5184만명으로 정점을 찍으면서 사망자 수가 출생아 수를 넘어서는 데드크로스(Dead Cross)에 진입했다.
자연증가(출생아-사망자) 개념으로는 지난해 -11만명에서 2040년 -27만명으로 인구감소가 가팔라지다가, 2072년에는 53만명으로 인구감소 폭이 커지게 된다. 인구성장률 기준 2025~2035년 연평균 -0.16% 증감률을 유지하다, 감소세가 빨라지면서 2072년에는 -1.13%에 달한다.
이에 올해 5167만명으로 줄어든 총인구는 2072년에는 3622만명으로 50년간 1545만명 감소하게 된다. 총인구는 2041년 5000만명선이 붕괴하면서 4000만명대로 떨어졌다가, 2060년대에는 3000만명대로 각각 쪼그라들게 된다.
이는 중간값에 해당하는 중위 추계 기준이다. 중위 추계에서는 합계출산율이 현재의 0.70명대에서 단기적으로 0.60명대로 떨어졌다가 반등하면서 2036년부터는 1.00명을 웃돌 것으로 봤다.
낙관적 시나리오(고위 추계)에서는 4282만명, 비관적 시나리오(저위 추계)에서는 3017만명으로 줄게 된다. 고위 추계에서는 출산율이 현재의 갑절에 달하는 1.34명까지 뛰어오를 것으로, 저위 추계에서는 출산율이 0.70~0.80명 부근을 맴돌 것으로 각각 가정했다.
고령화도 급속하게 진행된다. 연령별 비중을 보면, 15~64세의 생산연령인구는 2022년 71.1%(3674만명)에서 2072년 45.8%(1658만명)로 줄어들게 된다. 생산연령 인구수가 현재의 절반에도 못 미치는 셈이다. 기간별로는 2020년대에는 연평균 32만명씩 감소하다가, 2030년대에는 50만명대로 감소 폭이 커지게 된다.
65세 이상 고령인구는 같은 기간 898만명(17.4%)에서 1727만명(47.7%)으로 불어나게 된다. 0~14세 유소년 인구는 2072년 238만명(6.6%)으로, 2022년 595만명(11.5%)의 40% 수준에 그치게 된다. 고령인구가 생산연령인구를 웃도는 것은 물론이거니와 유소년 인구의 7.3배에 달하게 된다는 뜻이다.
인구피라미드 형태는 현재 30~50대가 최대 비중을 차지하는 항아리형에서, 60세 이상부터 점차 두터워지는 역삼각형 구조로 변하게 된다. 1960년의 뚜렷한 삼각형 구조와 비교하면 1세기 만에 정반대로 뒤집어진다는 뜻이다.
이송렬 한경닷컴 기자 yisr0203@hankyung.com
14일 통계청이 발표한 '장래인구추계: 2022~2072년'에 따르면 우리나라 총인구는 이미 2020년 5184만명으로 정점을 찍으면서 사망자 수가 출생아 수를 넘어서는 데드크로스(Dead Cross)에 진입했다.
자연증가(출생아-사망자) 개념으로는 지난해 -11만명에서 2040년 -27만명으로 인구감소가 가팔라지다가, 2072년에는 53만명으로 인구감소 폭이 커지게 된다. 인구성장률 기준 2025~2035년 연평균 -0.16% 증감률을 유지하다, 감소세가 빨라지면서 2072년에는 -1.13%에 달한다.
이에 올해 5167만명으로 줄어든 총인구는 2072년에는 3622만명으로 50년간 1545만명 감소하게 된다. 총인구는 2041년 5000만명선이 붕괴하면서 4000만명대로 떨어졌다가, 2060년대에는 3000만명대로 각각 쪼그라들게 된다.
이는 중간값에 해당하는 중위 추계 기준이다. 중위 추계에서는 합계출산율이 현재의 0.70명대에서 단기적으로 0.60명대로 떨어졌다가 반등하면서 2036년부터는 1.00명을 웃돌 것으로 봤다.
낙관적 시나리오(고위 추계)에서는 4282만명, 비관적 시나리오(저위 추계)에서는 3017만명으로 줄게 된다. 고위 추계에서는 출산율이 현재의 갑절에 달하는 1.34명까지 뛰어오를 것으로, 저위 추계에서는 출산율이 0.70~0.80명 부근을 맴돌 것으로 각각 가정했다.
고령화도 급속하게 진행된다. 연령별 비중을 보면, 15~64세의 생산연령인구는 2022년 71.1%(3674만명)에서 2072년 45.8%(1658만명)로 줄어들게 된다. 생산연령 인구수가 현재의 절반에도 못 미치는 셈이다. 기간별로는 2020년대에는 연평균 32만명씩 감소하다가, 2030년대에는 50만명대로 감소 폭이 커지게 된다.
65세 이상 고령인구는 같은 기간 898만명(17.4%)에서 1727만명(47.7%)으로 불어나게 된다. 0~14세 유소년 인구는 2072년 238만명(6.6%)으로, 2022년 595만명(11.5%)의 40% 수준에 그치게 된다. 고령인구가 생산연령인구를 웃도는 것은 물론이거니와 유소년 인구의 7.3배에 달하게 된다는 뜻이다.
인구피라미드 형태는 현재 30~50대가 최대 비중을 차지하는 항아리형에서, 60세 이상부터 점차 두터워지는 역삼각형 구조로 변하게 된다. 1960년의 뚜렷한 삼각형 구조와 비교하면 1세기 만에 정반대로 뒤집어진다는 뜻이다.
이송렬 한경닷컴 기자 yisr0203@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