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 산업 탄소 감축 등 3대 전략 바탕…관련 데이터 개방·플랫폼 구축
디지털 기술 접목해 탄소 감축…'탄소중립 촉진 방안' 발표
정부가 디지털 기술을 접목한 탄소 배출량 감축 기술을 개발해 2050년 탄소중립 목표에 한 걸음 다가선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대통령 직속 2050탄소중립녹색성장위원회(탄중위) 제5차 전체 회의에서 관계부처 합동으로 마련한 '디지털 전환을 통한 탄소중립 촉진 방안'이 심의·확정됐다고 23일 밝혔다.

정부는 '전 산업 부문 탄소감축 촉진', '디지털 부문 고효율화·저전력화', '그린 디지털 생태계 구축' 등 3대 전략을 중심으로 여섯 가지 과제를 준비했다.

이에 따라 디지털 기술로 전 산업 부문의 탄소배출을 줄일 예정이다.

전력 공급·수요 불확실성 관리를 위해 분산 에너지, 재생 에너지를 활용하고, 최적 항로로 운항하는 자율운항 선박 등으로 수송 부문에서 에너지 효율을 높인다.

건물의 에너지 성능 진단 정확도를 최대 15% 개선하는 등 그린 리모델링 기술을 고도화하고, 온도, 습도 등을 최적화한 스마트 생산시설을 확대한다.

자동 선별·처리로 폐기물 재활용률을 높이고, '디지털 탄소중립 협의회'(가칭)를 구성해 실생활에 적용될 탄소배출 감축 사업 발굴 및 확산에 나선다.

디지털 부문 자체의 탄소 배출량 감축도 유도한다.

저전력·고성능 데이터센터 기술을 개발하고, 서버와 저장장치, 배터리 선반(랙) 에너지 효율화, 냉각·공조 및 전력 설비 저전력화 등을 추진한다.

이동통신 기술 고도화에 따라 증가하는 네트워크 전력을 줄이기 위해 전력 효율을 극대화한 이동통신 소재, 부품, 장비, 에너지 설루션 등도 개발한다.

공공·민간 영역에서 '그린 디지털 전환'을 추진할 수 있도록 관련 데이터를 개방·공유하고, 탄소 공간지도 등도 고도화한다.

'탄소 회계'를 요구하는 세계적인 흐름을 고려해, 탄소 배출량을 측정, 보고, 검증(MRV)하는 기술을 개발하고, 온실가스 감축 관리 플랫폼도 준비한다.

정부는 올해 4월 '탄소중립 국가 기본계획'을 발표하고 관련 정책 추진에 속도를 내왔다.

윤석열 대통령도 최근 미국 샌프란시스코에서 열린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 정상회의에 참석해 청정에너지 이용 확대, 스마트모빌리티 확산, 녹색 항로 및 항구의 구축·연결 등을 담은 특별 이니셔티브를 제안한 바 있다.

해당 안건을 발표한 박윤규 과기정통부 제2차관은 "디지털 기술이 탄소중립 실현을 가속해 기후 위기에 직면한 국제 사회에서 한국이 모범국가로 발돋움할 수 있도록 차질 없이 정책을 추진해나가겠다"고 말했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