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자동차와 기아가 1~3차 협력사의 인력 확보와 복지 증진, 안전 강화 등을 지원하기 위해 원·하청 상생협약을 맺었다. 자동차업계에선 최초다.

현대차·기아는 20일 경북 경주 현대차그룹 글로벌상생협력센터에서 고용노동부, 현대차·기아 협력사 대표 등과 ‘자동차산업 상생협약 확산을 위한 공동선언식’을 개최했다. 업계 상생협약이 체결된 것은 올 2월 조선업계, 9월 석유화학업계에 이어 세 번째다.

현대차와 기아는 정부와 전문가, 협력사 대표와 함께 상생협의체를 꾸리고 숙련인력 채용, 직원 복지 증진, 산업 안전 강화 등 협력사의 전문성과 생산성을 끌어올릴 수 있는 실질적 방안을 마련하기로 했다. 기존엔 주로 1차 협력사에 지원이 집중된 것과 달리 이번 상생협의체는 지원 대상을 중소 2·3차 협력사까지 확대했다.

현대차·기아는 우선 이달 말 정부·전문가 대표와 협력사 간담회를 열고 협력업체 현장도 직접 방문하기로 했다. 이를 통해 의제를 발굴하고 의견을 수렴해 내년 1분기까지 구체적인 협력 방안을 마련하기로 했다. 실천협약도 체결할 예정이다. 정부는 제도적으로 필요한 사항을 지원하는 역할을 맡는다.

이날 행사에 참여한 이정식 고용노동부 장관은 “정부는 현대차·기아와 협력사 간 상생모델이 업계 전반을 넘어 기업, 지역, 업종 단위로 확산할 수 있도록 지원을 아끼지 않겠다”고 말했다. 이동석 현대차 대표(부사장)는 “자동차 산업 근로자들이 안정적인 복지를 기반으로 안전한 일터에서 마음 편히 일할 수 있도록 진정한 동행을 만들어 나가겠다”고 밝혔다.

빈난새 기자 binthere@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