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19로 억눌렸던 해외여행 수요가 엔데믹 이후 급증하면서 관련 소비자 불만도 크게 늘어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4일 한국소비자원에 따르면 지난해 국제 거래 관련 소비자 상담 건수는 2만2816건이다. 전년(1만9418건) 대비 17.5% 늘었다.거래 유형별로는 해외 직접구매(직구) 관련 상담이 1만4720건으로 가장 많았고, 구매·배송 대행 서비스 상담이 7566건이었다.해외직구에서는 서비스 구매 관련 상담이 1만395건으로 전년(7029건)보다 47.9% 급증했다. 이 가운데 상당수는 항공권이나 숙박 관련 상담이었다.소비자원은 해외여행 수요 급증 추세와 맞물려 온라인 여행사(OTA) 플랫폼을 이용하는 소비자가 늘면서 관련 소비자 상담도 많아진 것으로 분석했다.작년 전체 국제 거래 상담 건수 가운데 상세 품목이 확인된 2만2758건 가운데 항공과 항공 서비스가 6737건(29.6%)으로 가장 많았다. 이어 의류·신발이 4012건(17.6%), 숙박(예약)이 3735건(16.4%)으로 나타났다.항공권·항공 서비스의 불만 유형 가운데 취소·환불·교환 지연과 거부가 2813건(41.8%)으로 가장 많았다. 또한 위약금·수수료 부당 청구(2166건·32.2%), 계약불이행(1261건·18.7%) 등이다.해외 사업자의 소재지가 확인된 1만2800건을 국적별로 보면 싱가포르가 5636건(44.0%)으로 가장 많았고, 중국(홍콩) 2590건(20.2%), 미국 1175건(9.2%), 스웨덴 854건(6.7%), 말레이시아 349건(2.7%) 등의 순이었다. 특히 중국(홍콩)은 1년 새 123.1% 급증했다중국(홍콩) 관련 사례 급증은 중국계 전자상거래(이커머스) 플랫폼인 알리익스프레스와 테무 관련 상담 증가가 주원인으로 파악된다. 알리익스프레스·테무 관련 상담 건수는 지난해 1460건으로 전
서울 지하철 관리를 맡은 서울교통공사가 인파 밀집에 대비해 4일 오전 9시부터 6호선 한강진역에서 무정차 통과를 실시한다. 공사는 동시에 출구 통제에도 나선다고 밝혔다.공사는 이를 위해 경찰과의 통제 협의 과정도 마쳤다는 설명이다. 공사 관계자는 "대통령 탄핵 선고를 앞두고 한강진역 인근에 아침부터 많은 집회 인파가 모여드는 등 극심한 혼잡이 예상돼 인파를 관리하기 위해 조치한 것"이라고 했다.이날 안국역 외 한강진역 등 14개 역사는 인파 밀집 상황에 따라 지하철이 무정차할 수 있다. 이날 첫차부터 3호선 안국역은 무정차 통과와 함께 모든 출구의 폐쇄를 마친 상태다. 14개 역사△1호선 종각역 △1·2호선 시청역 △1·3·5호선 종로3가역 △2호선 을지로입구역 △3호선 경복궁역 △5호선 광화문역·여의도역·여의나루역 △6호선 한강진역·이태원역·버티고개역은 안전사고 우려 시 무정차 통과가 시행될 수 있다.공사 관계자는 "모두의 안전을 위한 조치인 만큼 시민 여러분께서도 안전을 위해 적극적인 협조를 부탁한다"고 당부했다.오유림 기자 our@hankyung.com
서울 중구(구청장 김길성)가 주민의 일상을 빈틈없이 지원하는 ‘돌봄SOS 서비스’ 제공기관을 올해 14곳으로 확대했다. 구는 올해 신규로 2곳과 협약을 체결하고, 기존 6개 기관과 재협약을 통해 총 14개 기관과 돌봄 네트워크를 구축했다고 4일 밝혔다.‘돌봄SOS 서비스’는 갑작스러운 질병이나 사고, 혹은 가족의 부재 등으로 돌봄 공백이 발생한 주민에게 △일시재가 △동행지원 △식사배달 △단기시설 이용 △주거편의 등의 맞춤형 지원을 제공하는 사업이다.올해 새롭게 참여하는 기관은 약수동의 ‘스마일재가노인복지센터’(장기요양기관)와 숭인동의 ‘뉴던주식회사’(주거편의 제공기관) 등 2곳이다. 이와 함께 △복지플러스(중림동) △소망재가(필동) △포시즌(황학동) △비지팅엔젤스(청구동) △안토(다산동) △봄날(광희동) 등 기존 기관 6곳과도 재협약을 마쳤다.기존 참여기관 6곳인 △유정복지사랑보살핌 △새생명재가 △중구행복돌봄센터 △스마트집수리협동조합 △요리를통한도시재생 협동조합 △홍릉단기보호센터 등도 올해 계속해서 서비스를 제공한다.구는 기관 선정을 위해 현장 실사와 체계적인 평가 절차를 거쳤다. 신규 기관은 기본 수행 능력, 인력 운영, 안전관리, 품질관리, 사업 협업 등 5개 영역에 대한 심사를 받았으며, 기존 기관은 돌봄매니저 설문조사를 포함한 성과 중심의 평가를 추가로 진행했다.또한 구는 돌봄서비스의 사각지대를 해소하기 위해 지역 병원과의 연계 체계도 구축했다. 신당동 ‘참바로병원’과 다산동 ‘반도정형외과’와 협력해 퇴원 전에 병원에서 곧바로 돌봄 서비스를 의뢰할 수 있도록 절차를 마련한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