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방부 유해발굴감식단, 고 이영조 하사·손명만 일병 유해 확인
낙동강 전선 지키다 산화…6·25 전사자 73년 만에 가족 품으로
6·25전쟁 당시 낙동강 전선을 사수하다가 전사한 호국 영웅이 73년 만에 가족의 품으로 돌아왔다.

국방부 유해발굴감식단(국유단)은 2005년 3월 경북 포항 도음산 일대에서 발굴된 6·25전쟁 전사자 유해의 신원을 국군 수도사단 소속 고(故) 이영조 하사(현 계급 상병)로 확인했다고 13일 밝혔다.

유가족을 찾는 데는 대구시 중구 남산 1동대 오희찬 예비군 지휘관의 도움이 컸다.

오 지휘관은 국유단에서 받은 지역별 전사자 명부를 통해 고인의 막내 여동생 이숙자 씨를 찾아냈으며, 국유단은 유전자 시료를 정밀 분석해 가족 관계임을 확인했다.

이 하사는 1931년 11월 대구시 남산동 일대에서 3남 2녀 중 둘째로 태어났다.

유가족 증언에 따르면 고인은 입대 전 생활고로 학업을 포기하고 공장에 다니며 생계를 유지했으며, 낙동강 방어선이 구축돼 격전을 벌이던 1950년 8월 입대했다.

이후 기계-안강 전투에 참전해 북한군의 남하를 저지하던 이 하사는 1950년 9월 4일 19세의 나이로 산화했다.

기계-안강 전투는 국군 수도사단이 3사단과 함께 부산으로 침투하려던 북한군 제2군단의 공격을 저지한 전투다.

낙동강 동부지역 작전을 수세에서 공세로 전환하는 새로운 국면을 마련한 것으로 평가된다.

낙동강 전선 지키다 산화…6·25 전사자 73년 만에 가족 품으로
또 2016년 11월 경북 경주시 강동면 다산리 일대에서 발굴된 6·25전쟁 전사자 유해의 신원은 국군 수도사단 소속 고(故) 손명만 일병으로 확인됐다.

손 일병 유해는 지역주민 제보를 바탕으로 발굴됐다.

당시 치열했던 전투 상황을 보여주듯 유해와 함께 다량의 M1탄과 카빈탄도 발견됐다.

국유단은 고인의 병적자료에서 본적지를 경남 거제로 파악한 후 이 지역 제적등본과 비교해 지난해 8월 고인의 조카로 추정되는 손판철 씨를 찾아냈다.

유전자 시료를 채취한 후 정밀 분석해 가족관계임을 확인했다.

손 일병은 1928년 2월 거제시 두모동 일대에서 2남 1녀 중 셋째로 태어났다.

거제에서 중학교까지 졸업했으며 부모와 농사를 지으며 결혼까지 했다.

전쟁이 발발하자 1950년 9월 입대해 수도사단으로 배치됐으며, 기계-안강 전투 중 1950년 9월20일 22세의 나이로 숨을 거뒀다.

국유단이 유해 발굴을 통해 수습한 유해의 신원을 확인한 것은 이영조 하사가 218번째, 손명만 일병이 219번째다.

확인된 전사자의 신원을 유족에게 알리는 '호국의 영웅 귀환 행사'는 12일 경남 창원의 고 손명만 일병 유가족 자택에서 열렸다.

13일엔 대구에 있는 고 이용조 하사의 유가족 자택에서도 행사가 진행된다.

이영조 하사의 여동생 이숙자 씨는 "얼굴도 모르는 오빠지만 늘 그리웠는데 유해라도 만나게 돼 다행"이라며 감사를 표했다.

손명만 일병의 조카 손판철 씨는 "할머니 유언으로 고인이 살아계실 때 좋아했던 녹두 고물 인절미를 매번 제사상에 올렸다"며 "하늘이 감복해 돌아오신 것 같다"고 소감을 전했다.

6·25 전사자 유가족은 전사자의 8촌까지 유전자 시료 채취로 신원 확인에 참여할 수 있다.

제공한 유전자 정보로 전사자 신원이 확인되면 포상금 1천만 원이 지급된다.

관련 내용은 국유단 대표 전화(☎ 1577-5625)로 문의하면 된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