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외여행 늘더니…4.5배 급증
해외여행 증가와 함께 여행자를 통한 '담배 밀수'도 급증한 것으로 나타났다.

품질이 보장되지 않은 가짜 담배가 유통될 경우 국민들의 건강에 악영향을 끼칠 수 있는 만큼 밀수 근절을 위한 대책 마련이 필요하다는 지적이다.

28일 더불어민주당 양경숙 의원이 관세청에서 받은 자료에 따르면 올해 들어 지난 7월까지 적발된 담배 밀수 건수는 379건이었다.

이는 작년 한 해 동안 적발된 밀수 건수(249건)보다 52.2% 많은 것이다. 2년 전인 2021년과 비교하면 담배 밀수 건수는 4.5배로 늘었다.

담배 밀수 건수의 증가는 코로나19 방역 조치의 완화로 해외여행이 늘어난 데 따른 것으로 풀이된다.

실제 밀수입 유형별로 보면 여행자·승무원을 통한 밀수가 361건으로 전체 밀수 건수의 95.3%를 차지했다. 여행자·승무원을 통한 밀수는 작년 연간 밀수 건수(212건)보다 70.3% 늘었다.

정상 화물을 가장한 밀수는 올해 17건으로 아직 작년 연간 밀수 건수(24건)에 미치지 못했다. 밀수입의 주경로가 화물 등에서 여행자로 옮겨간 것이다.

그 결과 담배 밀수 규모는 소형화돼 가는 양상이다. 올해 들어 7월까지 밀수 금액은 179억원으로 작년 연간 적발 액수(327억원)에 미치지 못했다. 밀수 1건당 적발액은 지난해 1억3천만원에서 올해 5천만원으로 줄었다.

국가별로 보면 베트남에서 온 밀수가 331건으로 가장 많았고 중국(15건), 캄보디아(3건) 등이 뒤를 이었다.

(사진=연합뉴스)


김현경기자 khkkim@wowtv.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