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25때 추락 폭격기 찾아라"…한미, 해운대 앞바다 수중조사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1953년 미군 3명 탄 B-26 폭격기 추락…소나 등 첨단장비 동원
한미가 6·25전쟁 때 부산 해운대 앞바다에 추락한 미군 폭격기 기체와 조종사 유해를 찾기 위한 공동 수중조사에 나섰다.
국방부 유해발굴감식단(이하 국유단)과 미국 국방부 전쟁포로·실종자확인국(DPAA)은 지난 7일부터 부산 해운대 앞 해상 일대에서 6·25전쟁 당시 추락한 미군 항공기와 조종사 유해 소재를 확인하기 위한 공동 수중 조사를 하고 있다고 22일 밝혔다.
한미가 바다에서 6·25전쟁 전사자 유해발굴 등을 위한 수중 조사를 하는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1953년 1월경 부산 K9 비행장에서 임무 수행을 위해 이륙한 직후 해상에 추락한 미 제5공군 소속 B-26 폭격기 1대와 여기에 탑승한 미군 3명의 유해를 찾는 것이 이번 조사 목적이다.
수중 조사는 약 20㎢ 면적의 해역에서 수중 탐지 장비로 탐색한 후 특이한 물체가 있으면 잠수사와 원격조종탐지기로 해저면의 전투기 잔해 등을 추가로 확인하는 과정으로 진행된다.
한미동맹 70주년을 계기로 작년 미국 측 요청으로 이뤄진 이번 수중 조사에는 미국 측 DPAA 소속 잠수사·수중고고학자 등 13명과 주한 미 해군 잠수사 7명이 참여했다.
한국 측에서는 이를 지원하기 위한 조사 전문인력과 해난구조전대 잠수사 10명, 함정 등을 투입했다.
조사 해역에는 해군작전사령부와 주한 미 해군사령부의 적극적인 지원으로 선체 고정형 소나(음향탐지기)를 탑재한 소해함(MSH), 특수 장비인 원격 조종 탐사기와 감압 체임버(Chamber), 소나 등을 구비한 구조지원정(YDT)이 참여했다.
미국 측 특수장비인 사이드 스캔 소나와 자기 탐지기(Magnetometer)를 탑재한 고속단정(RIB) 등도 투입됐다.
수심이 깊은 먼바다에서는 소해함 선체에 장착된 수중음파탐지기를 이용해 해저 형상을 탐색했고, 한미 수중조사팀은 고속단정에 탑승해 사이드 스캔 소나와 자기 탐지기를 끌고 다니며 해운대 인근 수심 약 5∼25m의 바닥을 샅샅이 훑었다.
이후 한미 잠수사들이 물체가 있는 곳으로 의심되는 해저로 내려가 금속탐지기, 수중 내비게이터 등을 이용해 조사했다.
조사에 참여한 미국 DPAA의 패트릭 앤더슨 대위는 "국가를 위해 희생한 분들에 대해서 국가가 책임을 져야 한다는 신념으로 수중 조사에 참여하고 있다"며 "실종자 소재를 확인할 수 있는 단 1%의 가능성이 있다면 모든 노력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이번 공동 수중 조사를 추진한 이근원 국유단장은 "한미동맹 70주년을 맞아 추진된 이번 조사를 계기로 양국의 유해 발굴 협력을 더욱 강화해 나갈 수 있게 됐다"며 "남은 조사 기간에도 우리의 자유와 번영을 수호한 미군 실종자 소재를 찾는 데 최선을 다할 것"이라고 밝혔다.
한미는 오는 27일까지인 공동 수중 조사 결과에 따라 미군 전사자 유해 발굴을 위한 추가 현장조사를 검토할 계획인 것으로 알려졌다.
/연합뉴스
국방부 유해발굴감식단(이하 국유단)과 미국 국방부 전쟁포로·실종자확인국(DPAA)은 지난 7일부터 부산 해운대 앞 해상 일대에서 6·25전쟁 당시 추락한 미군 항공기와 조종사 유해 소재를 확인하기 위한 공동 수중 조사를 하고 있다고 22일 밝혔다.
한미가 바다에서 6·25전쟁 전사자 유해발굴 등을 위한 수중 조사를 하는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1953년 1월경 부산 K9 비행장에서 임무 수행을 위해 이륙한 직후 해상에 추락한 미 제5공군 소속 B-26 폭격기 1대와 여기에 탑승한 미군 3명의 유해를 찾는 것이 이번 조사 목적이다.
수중 조사는 약 20㎢ 면적의 해역에서 수중 탐지 장비로 탐색한 후 특이한 물체가 있으면 잠수사와 원격조종탐지기로 해저면의 전투기 잔해 등을 추가로 확인하는 과정으로 진행된다.
한미동맹 70주년을 계기로 작년 미국 측 요청으로 이뤄진 이번 수중 조사에는 미국 측 DPAA 소속 잠수사·수중고고학자 등 13명과 주한 미 해군 잠수사 7명이 참여했다.
한국 측에서는 이를 지원하기 위한 조사 전문인력과 해난구조전대 잠수사 10명, 함정 등을 투입했다.
조사 해역에는 해군작전사령부와 주한 미 해군사령부의 적극적인 지원으로 선체 고정형 소나(음향탐지기)를 탑재한 소해함(MSH), 특수 장비인 원격 조종 탐사기와 감압 체임버(Chamber), 소나 등을 구비한 구조지원정(YDT)이 참여했다.
미국 측 특수장비인 사이드 스캔 소나와 자기 탐지기(Magnetometer)를 탑재한 고속단정(RIB) 등도 투입됐다.
수심이 깊은 먼바다에서는 소해함 선체에 장착된 수중음파탐지기를 이용해 해저 형상을 탐색했고, 한미 수중조사팀은 고속단정에 탑승해 사이드 스캔 소나와 자기 탐지기를 끌고 다니며 해운대 인근 수심 약 5∼25m의 바닥을 샅샅이 훑었다.
이후 한미 잠수사들이 물체가 있는 곳으로 의심되는 해저로 내려가 금속탐지기, 수중 내비게이터 등을 이용해 조사했다.
조사에 참여한 미국 DPAA의 패트릭 앤더슨 대위는 "국가를 위해 희생한 분들에 대해서 국가가 책임을 져야 한다는 신념으로 수중 조사에 참여하고 있다"며 "실종자 소재를 확인할 수 있는 단 1%의 가능성이 있다면 모든 노력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이번 공동 수중 조사를 추진한 이근원 국유단장은 "한미동맹 70주년을 맞아 추진된 이번 조사를 계기로 양국의 유해 발굴 협력을 더욱 강화해 나갈 수 있게 됐다"며 "남은 조사 기간에도 우리의 자유와 번영을 수호한 미군 실종자 소재를 찾는 데 최선을 다할 것"이라고 밝혔다.
한미는 오는 27일까지인 공동 수중 조사 결과에 따라 미군 전사자 유해 발굴을 위한 추가 현장조사를 검토할 계획인 것으로 알려졌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