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정은·푸틴 브로맨스에 시진핑 속내는 '심란'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과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의 밀착된 관계가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을 곤경에 빠트릴 수 있다고 미국 일간 뉴욕타임스(NYT)가 16일(현지시간) 진단했다.

지난 13일 김 위원장과 푸틴 대통령의 정상회담을 계기로 한국·미국·일본과 북한·중국·러시아의 신냉전이 심화할 것이라는 전망이 나오고 있지만 중국 속내는 사실 훨씬 복잡하다는 의미다.



NYT는 "북한과 러시아의 관계가 더 가까워지면 둘 다 중국에 덜 의존하게 될 수 있다"며 "이런 상황 때문에 우크라이나 전쟁 종식, 북한의 핵 프로그램 억제에 대한 글로벌 협상에서 중국이 가진 것으로 여겨지는 영향력이 감소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존 델러리 연세대 국제대학원 교수는 푸틴 대통령과 김 위원장이 북러관계를 강화하는 방식으로 삼각관계에서 지배력을 행사하는 강국인 중국을 벗어나 더 많은 자율성과 영향력을 모색할 이유가 있다고 설명했다.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 뒤 러시아의 우방으로서 불편한 시선을 받던 중국은 이미지를 세탁에 애써왔다.

중국은 올해 2월 우크라이나전 종식을 위해 당사국이 평화회담을 열고 각국의 주권을 존중할 것을 촉구하는 등 12개 조항으로 이뤄진 평화안을 발표했다. 또 지난달 사우디에서 우크라이나와 서방 주도로 열린 우크라이나전 종식 국제회의에 대표단을 파견했다.

다만 중국의 이런 노력은 결정적으로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점령지 포기에 대한 요구가 빠져 있다는 비판을 받는다.

서방은 중국이 대북제재에 적극적으로 나서지 않는다는 불만을 제기하지만, 중국은 유엔 안보리 대북제재에 거부권을 행사하면서도 공식적으로는 국제사회 합의에 동참한다는 태도를 강조하고 있다.

아울러 중국은 대외 영향력 확대를 위해 국제사회에서 제3세계 국가들에 우호적 손길을 내밀고 있다. 시 주석은 최근 중남미 베네수엘라에 이어 아프리카 잠비아, 동남아시아 캄보디아 등 각국 정상들을 잇달아 초청했다.

또 중국은 미국의 반도체 등 첨단 기술 통제에 반발하면서도 미국과 고위급 대화를 이어가고 있다.

이처럼 세력확대를 꿈꾸는 중국의 입장에서는 '글로벌 왕따'인 북한, 우크라이나 전쟁으로 고립된 러시아와 한패로 묶이는 게 달갑지 않은 것이라는 분석이다.
김정은·푸틴 브로맨스에 시진핑 속내는 '심란'
북한은 이번 정상회담을 계기로 러시아에 탄약을 제공하고 러시아로부터 위성기술 등을 지원받는 군사협력뿐 아니라 경제협력이 본격화할 것이라는 전망이 나온다.

북러 밀착과 관련해 중국 정부는 일단 신중한 태도를 내보이고 있다.

마오닝 중국 외교부 대변인은 지난 12일 정례 브리핑에서 북러 정상회담에 대한 논평 요청에 "북한 지도자의 러시아 방문은 북러 사이의 일(按排)"이라며 즉답을 피했다.

그러면서 "중국과 북한은 산과 물이 서로 이어진 우호적인 이웃으로 현재 양국관계는 양호하게 발전하고 있다"며 "우리 양국은 최고지도자들이 달성한 공동 인식을 이행하며 영역별로 교류·협력을 심화하고 있다"고 강조했다.

(사진=연합뉴스)


박근아기자 twilight1093@wowtv.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