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의 對러 무기지원, 매우 경악스럽다…中, 북러밀착 지지 않을 것"
"정치변화 있더라도 캠프데이비드선언 유지하는 게 각국 이익 부합"
주한美대사 "북러간 위성기술 등 군사협력 합의 가능성 더 우려"
필립 골드버그 주한미국대사는 13일(현지시간) 북러정상회담과 관련, 북한의 대(對)러 무기지원 움직임에 대해 매우 경악스럽다고 비판하고, 군사위성을 비롯해 북러간 군사 협력 합의 가능성에 더 심각한 우려를 표명했다.

골드버그 대사는 이날 한미연구소(ICAS)가 주최한 화상 심포지엄에서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과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의 정상회담과 관련한 질문을 받고 이 같은 입장을 밝혔다.

골드버그 대사는 "그들이 보스토니치 우주기지에서 만났다는 사실 자체가 의미심장하다"며 "김정은이 2명의 핵심 군부 실세를 비롯해 군수 담당을 대동했다는 것이 성명보다 더 중요할 수도 있다"고 지적했다.

그는 "아직 지켜봐야 한다"면서도 "푸틴이 (북한의) 위성 기술을 돕겠다고 했다는 보도가 있는데, 이 모든 것은 매우 우려스러운 일이다.

이는 미국과 한국뿐 아니라 중국 입장에서도 우려일 것"이라고 밝혔다.

또 그는 "우크라이나(전쟁)와 관련해 탄약이나 무기의 추가 지원에서 북한이 러시아에 제공할 수 있는 것은 그렇게 발전된(advanced) 것(탄약이나 무기)은 아닐 것"이라면서도 "그러나 이는 매우 경악스러운 일이며, (위성)기술 혹은 다른 분야 협력에 대한 합의 가능성이 한층 더 심각한 우려 사안"이라고 강조했다.

골드버그 대사는 북중러 3자 협력 가능성에 대해선 "중국은 러시아와 양자 관계를 이어가고 있지만, 북중러 3자 관계에 있어서는 어느 정도 망설이고 있으며, 이 대목이 중요하다"면서 "중국은 아마도 이 같은 협력을 지지하지 않을 것이고, 그러기를 희망한다"고 말했다.

그는 "중국이 국제 사회의 규범과 질서를 완전히 준수하지는 않지만, 그래도 더 이를 존중할 것으로 희망한다"고 덧붙였다.

그는 또 "가정적으로 말하고 싶지 않으며, 북러 사이에 어떤 합의가 있었는지 알지 못한다"면서 "러시아가 (북한에 대한) 기술 이전에 한층 신중하기를 바라지만, 이는 현실이라기보다 기대에 가까울 것"이라고 비관적 입장을 견지했다.

한편, 골드버그 대사는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사태 이후 국경을 봉쇄한 북한이 최근 변화 조짐을 보이는 데 대해선 "북한은 여전히 제재 대상"이라며 "문제는 중국과 러시아가 유엔 안보리에서 북한의 보호자로 나서는 것"이라고 지목했다.

그는 이어 윤석열 대통령이 최근 주요 20개국(G20) 정상회의를 계기로 중국 리창 총리와 만나 북한 문제를 거론한 것을 언급, "중국이 스스로 결정할 일이지만, 북한을 편들면서 한국이나 일본이 중국과 가까워질 것으로 생각한다면 정확히 반대 상황"이라고 경고했다.

그는 북미 대화 가능성에 대해선 "(미국은) 북한과 전제 조건 없는 대화에 열려있지만, 문제는 북한이 어떤 의지도 보이지 않는 것"이라며 "그들은 미사일 도발을 이어가고 있으며, 급기야 러시아를 방문했다"고 규탄했다.

골드버그 대사는 "이 같은 교착 상태를 우리가 원하는 것은 아니고 실망스럽기도 하지만, 이 모든 것을 해결할 '마법 총알'이 있다고는 생각하지 않는다"고 덧붙였다.

이어 그는 윤석열 대통령의 지난 4월 국빈 방미 기간 한미 양국이 채택한 '워싱턴 선언'을 언급, "우리는 북한과의 전제조건 없는 대화를 거듭 제안했다"면서 "최근 김정은과 푸틴의 만남으로 상당히 멀어지기는 했지만, 여전히 이를 테이블 위에 올려놓는 것은 중요하다"고 언급했다.

대북 인도적 지원 가능성에 대해선 "언제나 열려있다"며 "문제는 북한이 받아들이려 하지 않는 것"이라는 입장을 재확인했다.

한미일 정상의 지난달 캠프 데이비드 선언과 관련해선 "이것은 아시아판 '나토'가 아니다"라며 "중국에 대한 우려가 있기는 하지만, 이는 반(反)중국 성격이 아니다.

미국은 한국, 일본 양국과 각각의 방위 조약을 체결했으며 이에 따라서 전반적 안보 사안이 결정된다"고 거듭 확인했다.

또 한국의 다음 대선에서 야당이 집권할 경우 캠프 데이비드 선언이 무효가 될 가능성을 우려하는 일부 견해에 대해선 "정치적 변화가 있더라도 제도적 협력의 전반적인 관계를 유지하는 것이 기본이며, 이것이 각국 이익에도 부합한다"면서 "다만 한국 야당이 이 같은 변화에 기뻐하는 것은 아니다"라고 분위기를 전했다.

그는 "한국의 다음 대선은 2027년이고 그때까지는 관계를 발전시킬 시간이 있다"면서 "그렇기 때문에 한국인들이 이를 통해 혜택을 누린다는 것을 실감할 수 있도록 다양한 메커니즘을 구축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