日닛케이 보도…"북러 관계, 북한에 유리해진 새 단계로 진입"
"무기 필요한 러시아, 고립 각오하고 '불량배' 북한에 접근"
우크라이나 전쟁 수행을 위해 전투 능력 강화가 필요한 러시아가 무기와 탄약 등을 지원받기 위해 고립을 각오하고 북한에 접근했다고 니혼게이자이신문(닛케이)이 12일 북러 정상회담을 앞두고 진단했다.

러시아가 개발도상국과의 외교 작업에서 큰 성과를 거두지 못하자 잃을 것이 많다는 사실을 알고도 '금단'으로 여겨졌던 '불량배' 국가 북한과의 거래에 나섰다는 것이다.

보도에 따르면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과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이 러시아에서 4년 5개월 만에 여는 정상회담에서 러시아는 위성 발사 기술과 식량, 에너지를 북한에 건네고 대신 무기와 탄약을 공급받을 것으로 관측된다.

또 중국을 포함해 북중러가 합동 군사훈련을 하는 방안을 검토할 가능성도 점쳐진다.

닛케이는 "군사대국을 자부하는 러시아가 지위가 아래인 북한에 군사 지원을 요청한다면 전대미문의 사건이 될 것"이라며 "북러 관계는 북한에 유리해진 새로운 단계로 진입한다"고 짚었다.

우크라이나 전쟁과 서방 제재로 어려움에 부닥친 러시아는 우크라이나를 침공한 지난해 2월 이후 중국, 개발도상국·신흥국과 관계 강화를 추진해 왔다.

푸틴 대통령과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은 지난 3월 러시아 모스크바에서 대만과 우크라이나 문제에 대한 상대국 입장을 지지한다고 밝히고, 양국에 비판적인 서방을 향해 날을 세웠다.

하지만 러시아는 중국에 과도하게 의존하는 것을 피하고자 했고, 이에 따라 개발도상국과 신흥국에 대한 접근을 시도했다고 닛케이는 전했다.

세르게이 라브로프 러시아 외무부 장관은 올해 1월부터 지난달까지 28개국을 방문했는데, 4월에 유엔 안전보장이사회(안보리) 참석을 위해 미국을 찾은 것을 제외하면 방문지가 모두 개발도상국과 신흥국이었다.

냉전 시대부터 미국과 소련 진영을 택하지 않고 비동맹 노선을 추구한 지역을 찾아 지원을 호소한 것으로 보인다.

이들 국가 중에는 올해 2월 유엔 총회에서 우크라이나를 침공한 러시아에 철군을 요구하는 결의안이 통과될 때 반대 또는 기권 표를 던지거나 서방이 주도하는 러시아 제재에 참여하지 않는 곳도 있다.

하지만 지난 7월 상트페테르부르크에서 열린 러시아·아프리카 정상회의에서 여러 아프리카 국가는 러시아의 입장을 일방적으로 지지하지 않았고, 오히려 푸틴 대통령에게 휴전 필요성을 언급했다.

이러한 상황에서 러시아가 유엔 결의를 위반하고 미사일 개발에 매진하는 북한에 접근한다면 개발도상국과 신흥국이 러시아와 거리를 두려 할 수 있지만, 결국 러시아가 정책을 전환한 것으로 보인다고 닛케이는 분석했다.

닛케이는 "중국과 러시아 관계도 미묘해질 수 있다"며 "북한의 후견인 역할을 자임했던 중국은 북한과 러시아의 급속한 접근에 신경질적으로 될 수도 있다"고 전망했다.

이어 "북중러를 하나의 진영으로 묶는 인식이 퍼지면 대미 관계를 포함한 중국의 세계 전략에 마이너스가 된다"고 덧붙였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