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 직매립 금지 정책 유예요청 구상…대안 거론 '전처리시설'엔 신중론
"지방에 쓰레기 보내면 정책불신 우려"…마포구·주민에 "더 소통하겠다"
서울시 "마포소각장 완공까지 환경부에 폐기물 직매립 건의"
서울시는 마포구 신규 광역자원회수시설(쓰레기 소각장)이 완공되기 전까지 환경부에 직매립 금지를 완화해달라고 건의하겠다고 31일 밝혔다.

새 소각장이 준공 목표 시점을 달성하기 어려울 경우 완공될 때까지 주민 편익과 공사 현황을 종합적으로 고려해 정부 방침을 완화해달라는 취지다.

반대 입장을 표명한 마포구 및 주민과는 소통을 강화해 해결점을 찾겠다는 입장을 내놓았다.

시는 이날 신규 소각장 부지를 마포구 상암동으로 발표한 뒤 브리핑에서 이같이 말했다.

시는 마포와 노원, 양천, 강남에 있는 소각장 4곳에서 처리하지 못하는 하루 평균 1천t의 폐기물을 인천의 수도권매립지로 보내왔다.

하지만 2026년부터 수도권매립지 생활폐기물 직매립이 금지돼 추가 소각장 설치가 불가피하다.

신규 소각장 건립을 추진할 경우 직매립 금지는 최소 1년간 유예된다.

이에 따라 시는 2026년 12월까지 소각장 완공을 목표로 하고 있다.

김권기 서울시 자원회수시설추진단장은 입지 최종 선정 고시를 3월 말로 예정했었는데 5개월 정도 늦어졌다면서 후속 작업을 거쳐 완공을 최대한 신속히 추진할 방침이라고 말했다.

다만 "2026년 12월까지 완공은 지금으로 봐선 어려운 여건"이라며 만약 목표 시점까지 완공이 어려우면 환경부에 건의해 공사 완료까지 직매립 금지 방침을 완화해달라고 하겠다고 설명했다.

시는 마포구와 주민 등이 신규 소각장 건립의 대안으로 내세운 '폐기물 전처리 시설 확충'에 대해선 신중한 입장을 밝혔다.

전처리시설은 폐기물을 소각하기에 앞서 종량제봉투에서 재활용할 수 있는 금속·플라스틱·폐비닐 등을 분리해 최종 소각폐기물을 감량하는 설비다.

김 단장은 "소각장에 보내 태우지 않는 폐기물을 서울에서 처리할 수 있는 곳이 없다"며 "전처리한 폐기물을 (연료로 사용하는) 지방의 시멘트 회사 등에 보내야 하는데, '서울시 쓰레기를 지방으로 보낸다'는 메시지가 생기면 폐기물 정책이 전반적으로 불신을 살 수 있다"고 지적했다.

그러면서도 이 문제를 어떻게 해결하느냐가 과제라며 "전처리 결과물을 보낼 곳을 신중하게 고민하고 있다"며 "마포구청장이 말씀하신 부분도 심각하게 고민하고 있다"고 강조했다.

서울시 "마포소각장 완공까지 환경부에 폐기물 직매립 건의"
서울시는 이달 24일 열린 광역자원회수시설 입지선정위원회에서 현 마포자원회수시설 부지 옆 상암동 2개 필지를 신규 입지로 결정했다고 이날 밝혔다.

새 소각장은 악취 등 유해한 영향을 주지 않도록 지하화하며 처리 과정에 최첨단 자동화시스템과 오염방지설비를 도입하고 배출 현황은 실시간 공개한다.

지상에 문화시설과 전망대, 놀이기구, 스카이워크 등을 설치하고 주민 편의시설 건립과 기금 조성이라는 지원책도 내놓았다.

하지만 마포구와 지역 주민은 입장문을 내고 강하게 반발했다.

구는 입장문에서 "소각장 건립의 대안으로 쓰레기를 감량할 수 있는 정책을 서울시에 지속적으로 제기해왔다"며 "꾸준한 반대 의사 표명에도 시가 상암동 소각장 신규 입지를 최종 확정·고시한 것에 대해 매우 유감"이라고 밝혔다.

마포구 주민 등으로 구성된 마포소각장 백지화 투쟁본부도 입장문을 통해 행정소송과 집회 등 반대 활동에 나서겠다고 말했다.

김 단장은 이와 관련해 "시도 관련한 행정소송을 예상해 준비 중"이라며 부지 선정의 형평성이나 절차의 공정성 등에는 문제가 없다는 입장을 내놓았다.

이와 별개로 서울시는 마포구 및 주민과의 소통에 최선을 다하겠다는 입장도 밝혔다.

김 단장은 "남아있는 절차 중에서도 소통 절차가 여럿 있다"며 본안에 대한 환경영향평가에 10개월∼1년 이상 소요되는 만큼 마포구, 지역 주민과 소통이 가능하다고 보고 있다면서 "소통 노력을 더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