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29일 서유석 금융투자협회장이 기자들과 대화를 나누고 있다. 사진=신민경 기자
지난 29일 서유석 금융투자협회장이 기자들과 대화를 나누고 있다. 사진=신민경 기자
서유석 금융투자협회장이 "판매사인 증권사가 수익자에게 환매를 권유하는 것은 정상적인 일"이란 입장을 밝혔다. 라임펀드 특혜 의혹과 관련해 미래에셋증권의 연루 의혹이 불거진 가운데, 펀드 가치가 하락을 우려해 수익자들에게 환매를 권하는 것 자체는 증권사의 역할이자 의무라고 강조한 것이다.

서 회장은 전날인 29일 기자들로부터 라임펀드 특혜 의혹 관련 질문을 받고 "펀드를 권유한 증권사로서는 상품의 숨은 리스크(위험)에 대해 항상 관심을 가질 수밖에 없고 위기가 감지될 경우에는 수익자에게 빼라고 이야기하는 게 당연히 맞다"며 "(투자자 보호의무를 부담하는 주체로서) 선량한 관리자의 주의의무를 다한 것"이라고 말했다.

'그러면 미래에셋증권이 김상희 더불어민주당 의원에게 환매를 권유한 것은 특혜가 아니라고 보는 것이냐'는 질문에는 "이번의 경우는 어떤 관계가 얽혀있는지 모를 일이고 때문에 특혜인지 아닌지 저로선 알 수 없다"며 "이와 별개로 증권사의 환매 권유 역할은 정상적인 업무 범주에 있단 의미로 이야기를 한 것"이라고 답했다.

서유석 회장의 이 같은 발언은 커피와 다과를 들고 기자실을 깜짝 방문한 자리에서 나왔다. 서 회장의 협회 기자실 방문은 3월 7일, 4월 10일에 이어서 이번이 세 번째다. 이날 서 회장에게 쏠린 질문들 대부분이 미래에셋증권의 연루 여부와 관련한 것이었다. 증권 ·운용사들 모임의 수장인 만큼 증권사가 정쟁의 중심에 선 데 대한 입장에 이목이 쏠렸었다. 서 회장의 친정이 미래에셋그룹인 점도 주목도를 높였다.

앞서 금융감독원은 라임자산운용이 2019년 10월 대규모 환매 중단을 선언하기 직전 다선 국회의원 등 특정 유력인사들이 투자금을 회수했다고 밝혔다. 이들이 투자했던 펀드는 부실·비시장성 자산을 편입하고 있어 정상적 환매가 어려웠으나, 다른 펀드 자금을 가져오거나 고유자금을 지원하는 등 불법적으로 자금이 지원됐다는 게 감독당국의 설명이다. 이후 한 언론 보도를 통해 해당 다선 국회의원이 '김상희 의원'이란 점이 알려졌다. 김 의원은 즉각 미래에셋을 언급하면서 "자신을 비롯한 투자자 16명은 미래에셋증권의 권유를 받아들여서 환매를 했을 뿐 특혜 환매자가 아니다"라고 반박했다.

이에 대해 미래에셋증권은 최근 "라임펀드 특혜 이슈는 판매사가 아닌 운용사(라임자산운용)에 관한 사안"이라면서 "공적인 조사가 개시된 만큼 조사기관의 조사에 응하는 형태로 사실을 확인해 줄 것"이라고 밝혔다.

한편 서 회장은 이번 사태로 운용 업계 도덕적 해이가 도마 위로 오른 데 대해선 "내부통제에 대한 인식이 예전보다 훨씬 강화됐고 관련 전문인력을 보강해 이런 사건사고를 사전적으로 예방할 수 있는 형태로 업계가 나아가고 있다"며 "증권사와 운용사 임직원들의 윤리 부재로 이런 유의 사고가 발생하는 일은 스스로 없애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른바 '빚투'(빚내서 투자)가 성행하는 현상을 두고선 "최근의 쏠림을 보면 과거 주식 투자 패턴과는 확실히 다르다는 게 느껴진다"며 "주가의 등락이나 방향성 등에 베팅해서 투자결정을 하지 않고 기업 자체를 다양한 관점에서 바라볼 필요가 있다. 주가는 결국 회사가 만들어낸 가치에 수렴할 수밖에 없다"고 조언했다.

신민경 한경닷컴 기자 radio@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