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과 중국 정부는 29일 ‘제27차 한·중 경제공동위원회’를 열고 공급망 안정을 위해 협력해 나가기로 했다.

외교부는 이날 “양국은 촘촘하게 연결된 공급망을 감안해 이를 관리하고, 잠재적인 교란 요인을 예방하는 등의 노력을 통해 안정적인 공급망을 유지할 필요성이 있다는 점에 의견을 같이했다”고 밝혔다. 한·중 경제공동위는 수교 직후인 1993년부터 한국 외교부와 중국 상무부가 매년 개최해온 차관급 정례 협의체다. 이날 협의에는 오영주 외교부 2차관과 리페이 중국 상무부 차관이 각각 양국 수석대표로 참석했다.

양국은 한·중 자유무역협정(FTA) 후속 협상 등에서도 논의를 이어가자고 뜻을 모았다. 오 차관은 “한·중 FTA 서비스·투자 협상 진전을 통해 양국 간 교역·투자 확대 동력을 만들어가자”며 “한·중 국민 간 우호 정서를 심화하기 위해 게임·영화·방송 등 문화 콘텐츠 교류를 복원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이에 리 차관은 “양국 협력을 디지털 경제, 녹색발전 등 새로운 분야로 확대할 필요성이 있다”고 화답했다. 양국은 연내 국장급 한·중 경제협력 종합점검회의를 열고 후속 조치를 점검하기로 합의했다.

이에 싱하이밍 사태 이후 얼어붙었던 한·중 관계가 관리 국면에 접어들고 있다는 평가가 나온다. 외교부 당국자는 “한·중 관계가 최근의 (한·미·일 정상회의 등) 다자회의에 영향을 받는다고 생각하지 않는다”고 말했다.

맹진규 기자 maeng@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