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북 충주시가 '제19회 충북장애인도민체육대회'에서 제공된 도시락 품질 논란에 사과하며 향후 법적 조치를 검토하겠다고 밝혔다.충추시는 29일 공식 유튜브 채널을 통해 '말씀드리겠다'는 제목으로 1분56초 분량의 영상을 게재했다. 충주시 유튜브 채널을 운영하는 김선태 주무관은 "장애인도민체전 첫날 도시락이 좀 문제가 있었다고 한다"며 담당자인 충주시장애인체육회 곽영애 팀장과 도시락 문제와 관련해 얘기를 나눴다.문제의 도시락은 지난 24일 충주시 호암체육관에서 열린 충북장애인도민체전 개막식에서 일부 참가자에게 제공된 것이다. 1인당 1만2000원으로 책정된 도시락이지만, 조미김, 깻잎절임, 김치, 풋고추만 나와 부실 논란이 일었다. 이 도시락은 충주시의 한 업체가 납품한 것으로, 충주시 장애인체육회가 소개한 것으로 알려졌다.곽 팀장은 1만2000원이라는 가격에 대해 "1인당 천막(의자, 테이블)이 3000원이었고, 식사가 9000원으로 이루어져서 1인당 1만2000원이 됐다"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의뢰받고 세 군데 업체를 좀 보다가 천막과 식탁, 의자, 밥을 같이 할 수 있는 곳을 찾다 보니 (이 업체가) 셋 다 같이할 수 있다고 했다"며 "(사전에) 시식했는데 그때는 음식은 맛있었다"고 전했다.다만 "당일 날 너무 많은 양을 하다 보니 처음에 1100개까지는 닭볶음탕이 있고, 그 이후에 한 300여개가 도시락이 부족하다 보니 양이 줄었다"며 "마지막에 한 60~70개 정도는 정말"이라며 부실한 부분을 인정했다.김 주무관이 "대중들이, 일반 사람들이 봤을 때 이게 좀 너무 심했다. 잘못된 것"이라며 "업체에선 어떻게 대응하고 있느냐"
서울 시내버스가 오늘 첫차부터 준법 투쟁에 돌입했다.서울시와 서울시버스노동조합은 30일 오전 2시께 노사 간 임금 협상이 최종 결렬됐다고 밝혔다. 서울지방노동위원회에서 전날 오후 5시경부터 이어진 9시간의 마라톤 조정 회의에도 불구하고 노사는 핵심 쟁점인 통상임금 개편안을 둘러싸고 의견차를 좁히지 못했다.이번 협상의 최대 쟁점은 ‘통상임금’이다. 지난해 12월 대법원 전원합의체 판결에 의해 상여금을 통상임금에 포함할 수 있다는 결론이 나온 가운데 노조는 이를 법리 문제로 간주하며 임금 인상 협상과 분리해야 한다고 주장한 반면, 사측은 현 임금 체계 전면 개편 없이는 지속 가능하지 않다는 입장을 고수했다. 또 노조는 기본급 8.2% 인상, 정년 연장(63세→65세), 동일노동 동일임금 적용 등을 요구하는 반면, 사측은 상여금 반영에 따른 연간 약 3000억원의 인건비 증가가 불가피하다고 대응하는 중이다.이와 관련해 노조는 '임금 체계 개편은 사실상의 임금삭감'이라며 반발하고 있다. 노조 관계자는 "노사 간 입장차가 커 조정 중지를 결정했다"고 전했다. 노조는 사측 입장이 변하지 않으면 향후 파업에 돌입할 계획이다.다만 지난해와는 달리 노조는 전면 파업 대신 ‘준법투쟁’이라는 형태의 쟁의행위를 선택했다. 준법투쟁은 운수 종사자가 안전운행 매뉴얼에 따라 정차 및 휴게 시간을 엄격히 지키며 운행하는 방식이다. 추월을 자제하는 등의 방식으로 운행 속도를 늦추는 조치이지만 실질적으로 연착 및 배차 간격을 늘리는 효과를 유발할 수 있다. 이날 서울시는 안전안내문자를 통해 준법투쟁에 따라 지하철 등의 대체 교통수단 이용을 권장했
교육부와 의과대학 학장들이 진행한 설문조사에서 의대생 88%가 복귀를 찬성한다고 응답했지만, 정부와 강경파 의대생 단체와의 대화가 불발되면서 대규모 '트리플링'이 현실화됐다. 30일 전국 40개 의과대학 유급 시한이 만료된다. 이날까지 수업에 복귀하지 않으면 의대생 집단 유급은 현실화된다. 교육부는 이미 전날 전국 40개 의대에 이번 달 말까지 미복귀 의대생에 대한 유급 처분을 확정하라고 공문을 보냈다. 의대 학장 모임인 한국의과대학·의학전문대학원협회(KAMC)는 30일까지 수업에 불참한 의대생을 유급 처리하기로 했다. 의대생 수업 복귀율은 여전히 약 30%에 못 미친다. 약 70% 의대생이 유급 처리 대상이다. 이미 고려대, 연세대, 한양대, 순천향대 등 일부 학교는 수업을 거부하는 학생들에게 유급 대상임을 통보했다. 30일까지 수업에 참여하지 않은 의대생은 다음 달 1일부터 유급 예정 통보를 받게 된다.의대는 수업 과정이 1년 단위로 짜여 있는 경우가 많아 이번 학기에 유급되면 다음 학기에 수업을 듣기 힘들다. 이 때문에 내년도 예과 1학년은 3개 학년(24·25·26학번) 1만여 명이 동시에 수업을 듣는 '트리플링'이 현실화된다는 우려가 나오고 있다. 의대생들도 학교로 돌아오고 싶다는 의사를 밝히고 있다. 교육부에 따르면 전국 40개 의대 중 29개교는 지난 25일부터 대학별로 1∼3일간 수업 복귀 찬성 여부를 묻는 설문조사를 했다. 지난 29일까지 조사가 완료된 28개 의대 가운데 24개교의 자료를 취합한 결과, 전체 조사 대상 1만1889명 가운데 56.7%에 해당하는 6천742명이 복귀에 찬성한다고 답했다. 응답자 7673명만 놓고 보면 복귀 찬성 비율은 87.9%로 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