면세점 부진에 제주 등 9개 시도 소매판매 감소…서울 물가 3.8% 올라
2분기 광공업생산·수출, 14개 시도서 감소…반도체 불황 영향
글로벌 반도체 불황이 이어지면서 지난 2분기 전국 14개 시도에서 광공업 생산과 수출이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21일 통계청이 발표한 '2분기 지역경제동향'에 따르면 전국 광공업 생산은 지난해 2분기보다 7.4% 감소했다.

지난해 4분기를 시작으로 3분기 연속 감소세다.

경기(-16.2%)와 부산(-8.5%), 충북(-7.9%) 등 14개 시도에서 생산이 줄었다.

제주(3.1%)와 세종 (2.3%), 강원(1.6%)은 생산이 증가했다.

품목별로 보면 반도체·전자부품(-19.0%)의 생산 감소 폭이 가장 컸고, 화학제품(-16.0%), 고무·플라스틱(-10.3%)도 생산이 줄었다.

서비스업 생산은 작년 동기보다 2.8% 늘었다.

인천(7.6%)과 서울(6.6%), 대전(3.5%) 등 14개 지역에서 운수·창고, 금융·보험을 중심으로 생산이 늘었다.

전국 수출은 작년 2분기보다 12.0% 줄어 3분기 연속 감소세를 이어갔다.

전남(-32.8%), 세종(-31.7%), 충남(-31.1%) 등 14개 시도에서 메모리 반도체와 경유, 인쇄 회로 등을 중심으로 수출이 감소했다.

경남(25.1%)과 대구(12.9%), 인천(5.9%) 등 3개 시도는 선박, 기타 유기·무기화합물, 승용차 등의 선전에 힘입어 수출이 증가했다.

수입 또한 2분기 메모리 반도체와 원유, 석탄의 수입 감소로 전국 16개 시도에서 줄었다.

2분기 광공업생산·수출, 14개 시도서 감소…반도체 불황 영향
소비 동향을 보여주는 소매 판매는 2분기 9개 시도에서 줄어 작년 동기보다 0.3% 감소했다.

관광객 감소로 타격을 입은 제주(-7.4%)의 감소 폭이 가장 컸고, 대구(-5.0%)와 전남(-4.9%)이 뒤를 이었다.

소비자 물가는 전기·가스·수도 등 공공요금 인상 및 외식 물가 상승의 영향으로 작년 동기보다 3.2% 올랐다.

서울(3.8%)을 비롯한 11개 시도에서 3%대 물가 상승률을 기록했다.

상승률이 가장 낮았던 곳은 제주(2.4%)였다.

전국 고용률은 63.2%였다.

60세 이상과 30대, 50대의 고용률이 올라 작년 동기보다 0.5%포인트(p) 상승했다.

강원(2.2%p), 대구(1.7%p), 광주(1.6%p) 등 15개 시도에서 고용률이 상승했고, 경기(-0.4%p)의 고용률은 하락했다.

건설 수주는 주택, 기계 설치 등의 수주 감소로 13개 시도에서 작년 동기보다 감소했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