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온, 포드, 에코프로비엠 3사 대표 인사들과 캐나다 정부 관계자들이 17일(현지시간) 캐나다 퀘벡주 베캉쿠아 산업단지 내 양극재 공장 건설 부지에서 기념 촬영을 하고 있다. 에코프로비엠 제공.
SK온, 포드, 에코프로비엠 3사 대표 인사들과 캐나다 정부 관계자들이 17일(현지시간) 캐나다 퀘벡주 베캉쿠아 산업단지 내 양극재 공장 건설 부지에서 기념 촬영을 하고 있다. 에코프로비엠 제공.
SK온과 에코프로비엠, 미국 완성차 기업 포드가 캐나다에 배터리 양극재 합작공장을 설립한다. 미국 인플레이션감축법(IRA)에 대응하기 위해 배터리 핵심 소재부터 전기차에 이르는 밸류체인을 구축한다는 전략이다.

3사는 17일(현지시간) 캐나다 퀘백주 베캉쿠아시 소재 호텔에서 양극재 합작공장 설립을 공식 발표했다. 3사는 지난해 7월 양극재 생산시설 투자의향서(LOI)를 체결한 뒤 공장 건설을 위한 제반사항을 협의해 왔다.

3사는 베캉쿠아시 산업단지 내 8만4000평(27만8000㎡) 부지에 총 12억캐나다달러(약 1조2000억원)를 투자해 합작공장을 설립한다. 에코프로비엠의 캐나다 현지 법인인 '에코프로 캠 캐나다'가 공장을 운영하고 SK온과 포드는 지분을 투자한다.

캐나다 연방정부와 퀘백 주정부는 합작공장 설립에 총 6억4400만캐나다달러(약 6400억원) 규모의 재정 지원을 약속했다.

합작공장은 연간 생산능력 4만5000t 규모다. 오는 2026년 상반기 가동을 목표로 건설된다.

SK온은 해당 공장에서 생산한 양극재로 하이니켈 제품인 NCM9(니켈·코발트·망간)를 생산, 포드에 공급하게 된다. 포드는 전기 픽업트럭인 F-150 라이트닝에 SK온 배터리를 탑재하고 있다.

합작공장을 통해 3사는 북미 밸류체인을 구축하는 동시에 배터리 핵심 소재의 안정적 공급과 가격 경쟁력을 확보할 수 있게 됐다.

IRA 대응도 수월해졌다. 캐나다는 미국과 자유무역협정(FTA) 체결국으로 이곳에서 생산된 양극재는 IRA 핵심 광물 보조금 요건을 충족한다.

노정동 한경닷컴 기자 dong2@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