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질적 큰 변화 없을 수도" 기대감에 오후 들어 낙폭 만회
중국 단체 해외관광 재개에 한일 여행주 강세
'美투자제한'에도 범중국 증시 보합세…"제한범위 좁을 것"
미국 정부가 인공지능(AI)·반도체·양자컴퓨팅 등 3개 분야에 대한 자국 자본의 중국 투자를 제한하기로 한 가운데 10일 범중국 증시가 보합세를 보였다.

블룸버그통신에 따르면 홍콩에 상장된 중국 빅테크(거대 기술기업) 주가를 반영하는 항셍테크 지수는 한국시간 오후 4시 15분 기준 전장 대비 0.06% 상승 중이다.

이날 개장 전 미국의 투자 제한 조치가 발표된 가운데, 장중 1.7%까지 떨어졌던 항셍테크 지수는 오후 들어 반등하며 양전한 상태다.

중국 본토의 상하이종합지수(+0.31%)와 선전성분지수(+0.13%)는 상승 마감했고, 항셍지수는 0.01% 오른 채 거래되고 있다.

최근 중국의 7월 수출액이 전년 동기 대비 14.5% 급감한 데 이어 7월 소비자물가지수(CPI)가 전년 동기 대비 0.3% 하락해 디플레이션(물가 하락)에 진입했다는 평가가 제기되는 등 중국 경제에 대한 우려가 고조되는 상황이다.

이러한 가운데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은 이날 아시아 증시 개장 전 미국 자본이 AI 등 중국 첨단산업 3개 분야에 투자하는 것을 규제하겠다는 행정명령을 발표했다.

삭소마쳇츠 전략가들은 이에 대해 "중국 기술 분야에 대한 투자를 면밀 검토하거나 막기 위한 미 연방정부의 유례없는 감독을 의미한다"고 평가했다.

반면 블룸버그는 일각의 우려보다 투자 제한 범위가 좁을 것이라는 전망이 중국 내에서 나온다고 전했다.

미 일간 월스트리트저널(WSJ)도 이번 조치가 당장 커다란 실질적인 변화를 가져오지 못할 수도 있다면서 중국 벤처 생태계가 붕괴하지는 않을 것으로 전망했다.

미중 벤처캐피털 생태계가 이미 빠르게 분리되고 있어 이번 조치가 중국 스타트업 자금조달에 얼마나 큰 영향을 줄지는 미지수라는 것이다.

'美투자제한'에도 범중국 증시 보합세…"제한범위 좁을 것"
이날 닛케이225 평균주가(닛케이지수)는 0.84% 올랐고, 코스피(-0.14%)와 대만 자취안지수(-1.4%)는 떨어졌다.

중국 정부가 코로나19 확산 이후 제한했던 자국민의 해외 단체여행을 허용하기로 함에 따라 한국과 일본 여행주들은 강세였다.

'사드(THAAD·고고도 미사일 방어체계) 보복' 이후 6년여 만에 중국인의 한국 단체관광이 재개될 것이라는 기대 속에 롯데관광개발이 상한가를 찍는 등 면세점·항공·여행·화장품 등 한국 관련 종목들의 강세가 두드러졌다.

일본항공(+2.31%)과 여행사 에어트립(+3.86%) 등 일본 관련주도 올랐다.

한편 CNBC방송은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연준)의 향후 기준금리 인상 가능성을 판단하는데 주요한 지표가 될 미국의 7월 소비자물가지수(CPI) 발표를 앞두고 투자자들이 관망세를 유지하고 있다고 진단했다.

다우존스 집계에 따르면 월가에서는 이날 나올 7월 CPI가 전월 대비 0.2%, 전년 동월 대비 3.3% 올랐을 것으로 보고 있다.

전년 동월 대비 기준, CPI가 1년 전 상승률(+8.5%)보다는 큰 폭으로 내려가겠지만, 6월 상승률(+3.0%)보다는 올랐을 것으로 보인다는 것이다.

전날 뉴욕증시 3대 지수가 하락 마감한 가운데, E-미니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500지수 선물(+0.446%) 등이 일제히 상승 중이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