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해취약지역 주민 1만155명 사전대피 계획 수립
[태풍 카눈] 경북 내일 오전 고비…어선 3천261척 피항·해수욕장 통제(종합)
경북도와 시군은 태풍 '카눈' 북상에 따른 인명피해가 없도록 사전 주민 대피 명령을 적극 검토하고, 재해복구 현장에 다시 피해가 나지 않도록 점검하고 있다.

도와 시군은 태풍 예비특보 단계부터 비상근무 체계를 가동하고 유관기관 간 재난 상황 공유 등 협업체계를 강화 중이다.

9일 경북도에 따르면 10일 0시부터 도내에서 태풍 특보가 발효되고 오전 9시부터 정오까지가 최대 고비가 될 전망이다.

경북에는 태풍으로 100∼300㎜의 비가 내리고 강한 바람이 몰아칠 전망이다.

동해안과 서부 내륙 등 많은 곳은 400㎜ 이상 쏟아지는 곳도 있겠다.

도내 둔치 주차장과 강가 산책로, 동해안 해수욕장 등은 사전 통제했다.

지정 해수욕장 25곳에 대해 이용객 통제, 시설물 철거상태 확인 등 안전을 확인하고 있다.

집중호우에 대비해 24시간 위험 도로 시설 감시체계를 가동하고 지하차도 67곳과 낙석 사고위험이 높은 위험절개지 50곳 등 재해취약도로 시설을 점검했다.

지하차도는 침수 등에 대비해 현장관리자를 지정했다.

동해안의 어선 3천261척은 피항을 완료했으며 소형어선을 대상으로 추가적인 안전관리를 위한 인양작업을 하고 있다.

어망·어구와 양식 시설 피해가 발생하지 않도록 예방 활동도 강화하고 있다.

비상시 주민 사전 대피를 위해 인명피해 우려 지역 83곳의 재해 약자 대피조력자 381명을 지정하고 연락 체계를 구축했다.

도내 22개 시군 재해취약지역 6천326가구 1만155명에 대한 사전 대피계획도 수립했다
포항과 울진에서 울릉을 오가는 여객선은 전날부터 전면 통제된 상태다.

도와 시군은 산사태·급경사지·토사유출 지역 1천848곳과 비탈면 붕괴 우려 2천여곳, 인명피해 우려 584곳을 사전 점검했다.

지난달 호우 등으로 인명피해가 난 13개 마을 대피소도 안전 여부를 긴급 확인했다.

지난해 태풍 힌남노로 큰 피해가 난 포항 하천 5곳은 바닥을 다시 정비했다.

강풍에 대비해 불법 현수막과 추락 등 위험 우려가 있는 옥외광고물에 대한 긴급 안전 점검을 하고 위험 요소가 있는 경우는 철거 중이다.

도는 지난달 집중호우로 큰 피해가 발생한 지역 등에 태풍으로 인한 추가 피해를 막기 위해 시군에 위험지역에 대해 미리 주민 강제 대피 명령을 내리도록 했다.

또 대피 장소가 안전한지 점검하는 등 안전한 대피 장소를 확보하도록 했다.

지난달 폭우와 산사태로 큰 피해가 나 복구작업이 진행 중인 예천 등 북부지역과 지난해 태풍 힌남노로 엄청난 타격을 받은 포항 냉천 등 재해복구사업 현장에 문제가 없는지도 거듭 확인하고 있다.

호우로 강우량이 많았던 북부지역 저수용량 3만t 이상과 인명피해 발생이 우려되는 저수지를 대상으로 제방 균열, 누수, 구조물 손상 여부 등을 점검하고 비상시에는 하류 주민을 대피시킬 계획이다.

지난달 호우로 큰 피해가 난 예천, 영주 등 북부지역 시군은 복구 현장에서 다시 피해가 발생하지 않도록 인명 피해 우려 지역 주민 대피 명령 발령 검토, 지하차도 등 저지대 시설과 비탈면 사전 점검과 통제, 재해 취약 지구 사전 점검 등에 행정력을 집중하고 있다.

포항시는 전날 태풍 북상에 맞춰 재해 약자 590명을 대상으로 대피 명령을 내렸다.

시는 상황에 따라 취약지역 거주자들을 대피소로 추가 대피하도록 명령할 예정이다.

경주시는 비탈면 붕괴나 침수 위험이 있는 지역 주민 139가구가 대피할 수 있도록 시설을 점검하고 비상시 대피를 위한 차량 배치 계획을 마련했다.

[태풍 카눈] 경북 내일 오전 고비…어선 3천261척 피항·해수욕장 통제(종합)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