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경련 부회장에 또 관료?…재계 "이게 쇄신이냐"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2인자' 인사 놓고 논란
'새 수장 거론' 류진 풍산 회장
부회장에 외교부 출신 영입설
"자유시장경제 가치 훼손 우려
기업들과 소통 잘 될지도 의문"
"4대 그룹 출신 기업인 중에서
적임자 골라야" 목소리 커져
'새 수장 거론' 류진 풍산 회장
부회장에 외교부 출신 영입설
"자유시장경제 가치 훼손 우려
기업들과 소통 잘 될지도 의문"
"4대 그룹 출신 기업인 중에서
적임자 골라야" 목소리 커져
전국경제인연합회의 ‘2인자’인 상근부회장 인사를 놓고 벌써부터 논란이 일고 있다. 한국경제인협회로 새 출발하는 전경련의 차기 회장으로 유력한 류진 풍산그룹 회장이 외교부 출신 전직 관료를 상근부회장으로 임명하려 한다는 사실이 알려지면서다. 순수 민간 경제인 단체의 상근부회장 자리에 관료 출신을 또다시 영입하려 한다는 소식이 전해지자 재계에선 전경련 혁신과는 거리가 먼 인선이라는 지적이 나온다.
재계 한 관계자는 “류 회장이 개인적인 친분이 있는 동갑의 전직 외교부 고위 관료에게 상근부회장 자리를 제안한 것으로 안다”고 전했다. 또 다른 재계 관계자도 “류 회장은 미국을 비롯해 대외 업무나 교류에 주력하고, 전경련의 일상 업무는 상근부회장이 맡는 체제를 고려하고 있다”고 말했다. 전경련은 이에 대해 “회장도 정해지지 않은 상태에서 상근부회장 인사는 너무 성급한 얘기”라며 “부회장은 확정된 바 없다”고 했다. 하지만 그동안 회장이 부회장을 임명한 관례로 볼 때 류 회장이 회장에 선임되면 본인의 의지에 따라 그를 상근부회장으로 임명할 가능성이 큰 것으로 전해진다.
재계 한 관계자는 “순수 민간 경제단체인 전경련이 다른 경제단체처럼 관료 출신을 부회장으로 영입하는 게 맞는지 의문”이라며 “김병준 회장 직무대행이 ‘전경련을 쇄신하겠다’고 한 취지와도 배치된다”고 말했다.
외환위기 이후 전경련의 상근부회장 자리는 주로 민간 기업 출신이 맡아왔고, 간간이 관료 출신 인사가 임명된 적이 있다. 1997년 삼성그룹 출신 손병두 부회장(12대)에 이어 13대 부회장도 삼성물산 회장을 지낸 현명관 부회장이 맡았다. 삼성 출신이 연이어 부회장을 맡으면서 “전경련이 ‘삼경련’(삼성경제인연합회)이냐”는 견제도 있었다. 이에 따라 14대에는 상공부 출신의 조건호 전 과학기술부 차관이 부회장에 올랐고 15대, 16대는 이윤호 전 LG경제연구원장과 정병철 전 LG전자 사장 등 LG 출신 인사가 부회장을 연이어 맡았다. 이후 박근혜 정부 때는 전경련 내부 인사였던 이승철 부회장이 2인자로 활동했다. 그러나 전경련이 ‘최순실 국정농단’의 공범으로 낙인찍히며 위상이 추락한 2017년부터 권태신 전 국무총리실 실장이 부회장을 맡아오다가 올해 초 허창수 회장과 동반 사퇴했다. 현재는 공석(空席)이다.
‘재계 맏형’ 격인 경제단체의 부회장은 경영 경험이 있고 경제 현안을 제대로 파악하고 있는 민간 출신 인사가 더 적합하다는 견해도 있다. 재계 다른 관계자는 “외교에 특화된 관료가 부회장을 맡으면 기업의 최신 현안이나 상법, 공정거래법 같은 이슈에 제대로 대응하기 힘들 것”이라고 지적했다. 이 관계자는 “차기 회장이 주요 그룹 출신이 아니면 상근부회장이라도 4대 그룹 출신 기업인 중 경영 성과를 인정받고 덕망 있는 인사를 임명하는 게 새 출발하는 전경련에 적합할 것 같다”고 했다.
김재후 기자 hu@hankyung.com
○전직 관료 영입 추진
3일 재계에 따르면 류 회장은 초대 한국경제인협회장을 맡을 경우 상근부회장 자리에 외교부 출신 전직 고위 공무원을 임명할 것으로 알려졌다. 전경련은 경제 5단체 중 유일하게 상근부회장과 회장이 공동대표를 맡는다. 상근부회장은 실무 총책임자로서 전경련의 실질적 운영을 책임진다.재계 한 관계자는 “류 회장이 개인적인 친분이 있는 동갑의 전직 외교부 고위 관료에게 상근부회장 자리를 제안한 것으로 안다”고 전했다. 또 다른 재계 관계자도 “류 회장은 미국을 비롯해 대외 업무나 교류에 주력하고, 전경련의 일상 업무는 상근부회장이 맡는 체제를 고려하고 있다”고 말했다. 전경련은 이에 대해 “회장도 정해지지 않은 상태에서 상근부회장 인사는 너무 성급한 얘기”라며 “부회장은 확정된 바 없다”고 했다. 하지만 그동안 회장이 부회장을 임명한 관례로 볼 때 류 회장이 회장에 선임되면 본인의 의지에 따라 그를 상근부회장으로 임명할 가능성이 큰 것으로 전해진다.
○“또 관료 출신이냐” 반발
이 같은 소식이 알려지자 재계에선 여러 말이 나오고 있다. 개인적인 친분으로 전경련에 자리를 마련해주는 게 맞냐는 지적과 함께 “또 관료 출신이냐”는 반발이 나오는 것이다.재계 한 관계자는 “순수 민간 경제단체인 전경련이 다른 경제단체처럼 관료 출신을 부회장으로 영입하는 게 맞는지 의문”이라며 “김병준 회장 직무대행이 ‘전경련을 쇄신하겠다’고 한 취지와도 배치된다”고 말했다.
외환위기 이후 전경련의 상근부회장 자리는 주로 민간 기업 출신이 맡아왔고, 간간이 관료 출신 인사가 임명된 적이 있다. 1997년 삼성그룹 출신 손병두 부회장(12대)에 이어 13대 부회장도 삼성물산 회장을 지낸 현명관 부회장이 맡았다. 삼성 출신이 연이어 부회장을 맡으면서 “전경련이 ‘삼경련’(삼성경제인연합회)이냐”는 견제도 있었다. 이에 따라 14대에는 상공부 출신의 조건호 전 과학기술부 차관이 부회장에 올랐고 15대, 16대는 이윤호 전 LG경제연구원장과 정병철 전 LG전자 사장 등 LG 출신 인사가 부회장을 연이어 맡았다. 이후 박근혜 정부 때는 전경련 내부 인사였던 이승철 부회장이 2인자로 활동했다. 그러나 전경련이 ‘최순실 국정농단’의 공범으로 낙인찍히며 위상이 추락한 2017년부터 권태신 전 국무총리실 실장이 부회장을 맡아오다가 올해 초 허창수 회장과 동반 사퇴했다. 현재는 공석(空席)이다.
○“기업인 출신이 적합”
재계에서는 관료 출신을 또다시 임명하는 건 김 직무대행이 강조한 ‘시장경제와 자유주의 철학을 굳건히 하겠다’는 방침과도 어긋난다는 지적이 나온다. 한 대기업 고위 관계자는 “한국 경제에 시장의 자율성을 높이겠다고 하고 관료 출신을 영입하는 건 모순”이라며 “그동안 부회장을 거쳐 다른 자리로 간 관료 출신 인사를 볼 때 전경련 쇄신에 도움을 줄지도 의문”이라고 말했다.‘재계 맏형’ 격인 경제단체의 부회장은 경영 경험이 있고 경제 현안을 제대로 파악하고 있는 민간 출신 인사가 더 적합하다는 견해도 있다. 재계 다른 관계자는 “외교에 특화된 관료가 부회장을 맡으면 기업의 최신 현안이나 상법, 공정거래법 같은 이슈에 제대로 대응하기 힘들 것”이라고 지적했다. 이 관계자는 “차기 회장이 주요 그룹 출신이 아니면 상근부회장이라도 4대 그룹 출신 기업인 중 경영 성과를 인정받고 덕망 있는 인사를 임명하는 게 새 출발하는 전경련에 적합할 것 같다”고 했다.
김재후 기자 hu@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