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동구, 반지하 1천679세대에 침수 방지시설 7종 설치
서울 성동구(구청장 정원오)는 장마와 여름 폭우에 대비해 성동구 반지하 주택 1천679세대에 7종의 침수 방지시설 설치를 마쳤다고 5일 밝혔다.

구는 지난해 중부 지역 집중호우로 인한 서울의 반지하 주택 침수를 계기로 지난 1년간 TF를 꾸려 반지하 등급제 전수조사를 포함한 도시·주거 안전 정책을 수립해왔다.

반지하 등급제 전수조사를 통해 건축사가 관할 지역 내 모든 반지하 주택을 방문해 위험도를 4개 등급으로 분류하고 침수 위험도에 따라 차수막 등 필요한 시설을 설치했다.

또 거주자의 연령, 장애 여부, 주택 침수 이력과 상관없이 희망하는 모든 세대에 차수판, 역지변(역류 차단 장치), 개폐식 방범창, 침수경보기, 스마트 환풍기, 소화기, 화재경보기 등 총 7종을 전부 또는 일부 설치했다.

반지하 중 위험도가 높고 70세 이상이 거주할 경우 낙상 방지 핸드레일 설치 등 고령자 맞춤형으로 주거 환경을 개선하는 '효사랑집수리' 사업도 새로 추진한다.

반지하 거주자의 공공임대주택 이주 등 주거 복지 지원 작업도 진행 중이다.

성동구는 임대인과 임차인이 동의해 침수 방지시설을 설치할 수 있도록 우편물을 발송하고 17개 동 주민센터 직원과 통장이 방문해 사업을 안내했다.

정원오 성동구청장은 "반지하, 옥탑, 고시원과 같이 주거 공간으로 사용하지만, 법률상 주택이 아니라는 이유로 사각지대가 되는 것이 문제"라며 "추후 법규 제·개정을 통해 주거 목적으로 사용하는 모든 공간에 지방자치단체장이 안전시설을 설치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고 말했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