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현동 주미 한국대사가 28일(현지시간) 워싱턴 특파원 간담회에서 발언하고 있다. 사진=워싱턴 특파원단
조현동 주미 한국대사가 28일(현지시간) 워싱턴 특파원 간담회에서 발언하고 있다. 사진=워싱턴 특파원단
한·미 정상이 북핵 위협에 대응하기 위해 신설키로 한 확장억제협의체인 '핵협의그룹(NCG)이 다음달 중 첫 회의를 열 전망이다. 한·미·일은 정상회담 시기를 조율 중이며 미국은 대한항공과 아시아나항공 합병을 허가하는 안건에 대해 논의 중이다.

조현동 주미대사는 28일(현지시간) 워싱턴 특파원 간담회에서 "지난 워싱턴 선언에서 도출된 한·미 NCG의 첫 회의를 개최하는 논의가 진전을 이루고 있다"고 밝혔다.

NCG는 지난 4월 한·미 정상회담에서 한반도 내 핵운용 계획을 서로 논의하기 위해 만든 협의체다. 당초 한·미 국방부 차관보급이 대표를 맡을 가능성이 컸지만 양국 간 합의를 성실히 이행하기 위해 양국 국가안전보장회의(NSC)가 주도적 역할을 맡게 될 것으로 전해졌다. 첫 회의는 다음달 중 열릴 것으로 관측되고 있으나 내달 초 개최는 힘들 전망이다.

NCG는 일단 한·미 양국간 협의체로 출범할 예정이며 일각에서 제기되고 있는 한·미·일 3국간 확장억제 협의체 구성에 대해선 후순위로 논의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조 대사는 한·미·일 정상회담에 대해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이 지난 5월 일본에서 열린 주요 7개국(G7) 정상회의에서 얘기한 대로 한·미·일 3국 정상회담을 워싱턴에서 여는 방안이 추진되고 있다"며 "7월 북대서양조약기구(NATO) 정상회의와 아세안 외교장관 회의를 계기로 한·미 양국 간 공조에 대한 기대가 커지고 있다"고 설명했다.

이와 관련해 지난 26일 일본 아사히신문은 "한·미·일 정상회담이 8월말에 개최될 예정"이라고 보도했으나 아직 3국은 구체적 일정을 확정하지 않은 것으로 전해졌다. 이와 별도로 한·미·일 3국은 북한 미사일 경보정보를 실시간으로 공유하는 문제를 놓고 조만간 결론을 낼 것으로 전해졌다.

조 대사는 또 "4월 한·미 정상회담에서 합의한 차세대 핵심 신흥기술 대화 출범을 위한 협의를 진행하고 있다"고 소개했다. 한·미 당국은 다른 외교 일정을 감안해 최종 시기를 결정할 전망이다.

또 한·미는 반도체 장비 수출통제와 관련, 오는 10월 이후에도 중국에 진출한 한국 반도체 기업에 대한 적용을 유예하는 방안에 대해 논의 중이다. 이와함께 미국은 대한항공과 아시아나 합병 을 허용할 지 여부에 대해 검토 중이다. 미 법무부는 제트블루와 아메리칸항공, 제트블루와 스피릿항공의 합병에 잇따라 제동을 거는 등 반독점과 관련해 강경한 입장인 것으로 알려졌다.

워싱턴=정인설 특파원 surisuri@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