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건소 업무 개편…인수공통감염병에도 범부처 공동대응
지난주 일평균 확진자 소폭 감소…위험도 23주 연속 '낮음'
'포스트 코로나' 감염병 대응, 지역 보건소 역할 강화한다(종합)
정부가 코로나19 이후 감염병 위협에 대해 보건소의 감염병 대응 체계와 인수공통감염병에 대한 범부처 협력을 강화한다.

중앙사고수습본부는 28일 질병관리청으로부터 이같은 내용을 보고받고 논의했다고 밝혔다.

지영미 질병청장은 "코로나19 안정적 관리와 상시 감염병, 신종 감염병 위협에 차질 없이 대응하기 위해서는 지역사회 감염병 대응의 최일선 기관인 보건소의 역할이 중요하다"며 "보건소의 감염병 대응 역량을 계속 유지·강화해 중앙과 지방자치단체 간 유기적인 협력체계를 만들어 나가겠다"고 말했다.

지자체별 보건소는 코로나19 기간에 확충했던 감염병 조직을 정부의 위기단계 하향 조정 발표 이후 개편하고 있다.

질병청은 코로나19 대응에 집중하느라 상대적으로 관심이 적었던 상시 감염병과 잠재적 위협 요인을 집중 예방·관리하고 신종감염병 대응 기반을 강화하도록 일선 보건소의 감염병 대응 체계를 만들 계획이다.

보건소의 상시 감염병 관리도 강화한다.

결핵 발생률 감소 목표를 이행하기 위해 보건소의 협력 사업을 확대하고, 높아지는 모기·진드기 매개 감염병과 수인성 감염병 위험에 대응해 보건소의 초동 대응과 감시를 강화한다.

'포스트 코로나' 감염병 대응, 지역 보건소 역할 강화한다(종합)
지역에서 호흡기 감염병을 조기에 인지하도록 보건소 관할 지역 표본감시 의료기관을 늘리고, 코로나19로 축소됐던 보건소의 성매개 감염병 검사 업무는 확대한다.

보건소 중심의 감염병 조사 보고 체계를 확립하고, 지역 내 주요 행사와 풍수재해 발생에 대비해 질병청과 지자체 간 사전 합동 계획과 사전 위험도 평가를 실시하기로 했다.

인수공통감염병 발생 위험 증가에 대응해서는 사람-동물-환경을 아우르는 '원헬스' 개념으로 범부처 공동 대응체계를 강화한다.

기후변화와 국가 간 이동, 반려동물 양육 증가 등의 영향으로 인수공통감염병이 코로나19 이후 새로운 위협 요인으로 대두됐다.

이에 정부는 지난 5월 제1차 인수공통감염병 대책위원회를 통해 5월 '제2차 인수공통감염병 관리계획'을 발표한 바 있다.

인수공통감염병 대책위원회에는 질병청, 농림축산식품부가 공동 운영하는 연 2회 개최 정례 위원회로 관계 부처와 학계 전문가가 참여한다.

이 대책위를 내실화하기 위해 인수공통감염병 실무협의체도 올해 3월 구성했다.

또한 범부처와 지자체의 인수공통감염병 실무자 대상 역량 강화를 위한 모의훈련을 최근 실시했다.

이밖에 인수공통·매개체·식품매개 감염병을 대상으로 원헬스 기반 통합감시 연차보고서를 연구해 올해 말 발간할 예정이다.

한편 지난주(18∼24일) 코로나19 일평균 확진자 수는 1만6천26명으로 전주보다 소폭 감소하고, 전국 코로나19 주간 위험도는 23주 연속 '낮음'을 유지했다.

재원중인 위중증 환자 수는 전주보다 2.7% 증가한 일평균 116명, 신규 사망자 수는 23.6% 감소한 일평균 8명이었다.

지 청장은 "정부는 코로나19 방역상황을 계속 안정적으로 관리하도록 대응체계를 빈틈없이 점검하겠다"며 "변이 감시 등을 통해 재유행에도 철저히 대비하고, 의료기관과 감염취약시설에서 고위험군 보호를 위한 노력도 계속하겠다"고 말했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