토마스 클라인 메르세데스-벤츠코리아 대표. 사진=한국자동차기자협회 제공.
토마스 클라인 메르세데스-벤츠코리아 대표. 사진=한국자동차기자협회 제공.
"한국 소비자들은 자동차에 대한 취향이 고급스럽고 수준이 높은 데다 브랜드 헤리티지에 대해 많은 이해를 갖고 있습니다. 첨단화·고급화된 한국 고객 니즈를 파악하고 이를 충족시키기 위해 많은 노력을 한 게 좋은 결과로 이어졌습니다."

한국을 벤츠의 '글로벌 4대 시장'으로 성장시킨 뒤 떠나는 토마스 클라인 메르세데스-벤츠코리아 대표(사진)는 지난 16일 한국자동차기자협회 주최로 진행된 송별 인터뷰에서 "벤츠코리아는 한국 소비자가 무엇을 원하는지를 파악하고 그에 맞춰 제품에 적응해나갔다"고 설명했다.

벤츠코리아는 지난해 수입차 브랜드 최초로 연간 판매 8만대를 돌파하며 한국 진출 이후 최대 매출(7조5400억원)과 영업이익(2818억원)을 기록했다.

2021년 1월 벤츠코리아 대표로 부임해 한국 시장을 벤츠의 글로벌 4대 시장으로 발돋움시킨 클라인 대표는 본사 제품 관리·판매 총괄로 승진하며 다음 달 한국을 떠난다.

클라인 대표는 벤츠코리아의 럭셔리·전동화 전략을 정착시킨 장본인이다. 클라인 대표 재임 기간 한국은 벤츠의 럭셔리 브랜드인 마이바흐가 세계에서 두 번째로 많이 팔리는 국가가 됐다. S클래스 판매 순위도 3위에 올랐다. 지난해 국내에서 팔린 벤츠의 전기차는 전년 대비 3.7배나 늘었다.

그는 "한국 소비자는 제품을 자신에 맞게끔 커스터마이징(맞춤 제작)하면서 자신의 취향과 사회적 입지를 표현한다"며 "그래서 벤츠 브랜드가 가진 럭셔리 영역에 주목해야 한다고 생각했다"고 말했다.

클라인 대표 재임 기간 국내에서 벤츠 판매 대수는 5%, 매출은 45% 늘었다. 벤츠 라인업 중에서도 고가 차량 판매 비중이 늘었다는 방증이다.

클라인 대표는 "전동화도 중요한 부분으로, 본사와 치열하게 싸워 더 많은 전기차 모델을 한국 시장에 들여올 수 있었다"며 "그 결과 전기차 판매는 2020년 대비 8배 성장했고 수입 브랜드 중 전기차 판매 1위를 할 정도로 발전했다"고 덧붙였다.

재임 기간 아쉬웠던 점으로는 예측하기 어려운 국내 자동차 업계 규제를 꼽았다.

그는 "새로운 규제가 좀 더 장기적으로, 예측할 수 있게 도입되는 것이 도움이 되지 않을까 싶다"고 했다.

클라인 대표는 "1월부터 한국 소비자에게 제품을 전달하려면 전해 7월에 주문을 넣어야 하는데, 한국은 1∼2월이면 보조금 제도가 바뀌어 준비할 만한 상황이 안 된다"며 "2∼3년 정도 간격으로 제도를 진행하면 보다 잘 대응할 수 있지 않을까 생각한다"고 말했다.

노정동 한경닷컴 기자 dong2@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