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달러 환율은 반도체 훈풍에 1,270~1,280원대 안착
日 나홀로 통화완화에…원/엔 환율, 8년만에 800원대 진입(종합)
엔화 가치 급락세 속에 19일 원/엔 환율이 8년 만에 800원대에 진입했다.

세계 각국의 통화 긴축에도 일본은행(BOJ)이 나 홀로 완화 정책을 이어가면서 엔화 가치가 빠르게 떨어지고 있다.

이날 오전 8시 23분 기준 원/엔 재정환율은 100엔당 897.49원이다.

원/엔 환율이 800원대에 진입한 것은 2015년 6월 25일 이후 8년 만이다.

원/엔 환율은 800원대를 터치한 뒤 소폭 올라 오전 장중 100엔당 900원대 초중반 흐름을 보이고 있다.

미국과 유럽의 통화 긴축 기조가 당분간 이어질 것으로 예상되는 가운데 일본만 완화 정책을 고수하면서 엔화 가치를 끌어내리고 있다.

일본은행은 지난 16일 금융정책결정회의를 열고 일본은행 단기금리를 마이너스(-0.1%) 상태로 동결하고 장기금리 지표인 10년물 국채금리를 0% 수준으로 유지했다.

문정희 KB국민은행 연구원은 "일본은행은 여전히 수요 측면의 물가 압력이 높지 않고 글로벌 경제의 회복이 지연될 것으로 판단했다"며 "완화 기조가 좀처럼 긴축으로 선회하기 어려운 상황"이라고 분석했다.

최근 원화의 상대적 강세도 원/엔 환율에 하락 압력을 더하고 있다.

원화는 반도체 시장 회복 기대와 미 연방준비제도(Fed·연준)의 금리 인상 종료 기대감 등으로 강세를 보이고 있다.

이에 최근 2개월 가까이 1,300원대 박스권에 머물던 원/달러 환율은 최근 1,270~1,280원대까지 떨어진 상황이다.

다만 이날 원/달러 환율은 상승세다.

서울 외환시장에서 오전 10시 7분 현재 달러 대비 원화 환율은 전 거래일보다 8.9원 오른 1,280.8원이다.

원/달러 환율은 6.1원 오른 1,278.0원에 개장한 뒤 상승 폭을 조금씩 키우고 있다.

일부 연준 위원들이 여전히 금리 인상이 필요하다는 매파적(통화 긴축 선호) 발언을 내놓으며 달러가 강세를 보인 영향을 받고 있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