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재부, 6월 그린북…"물가 상승률 지속 하락 흐름"
"내수 회복세에 경제심리 개선…고용 증가세도 견조"
정부, 5개월째 '경기 둔화' 진단…"하방 위험은 다소 완화"
최근 한국 경제 둔화가 이어지고 있으나, 하방 위험은 다소 완화했다는 정부 진단이 나왔다.

내수와 고용에서 좋은 지표가 나타나고, 물가 상승률이 지속 하락하면서 경기가 회복 흐름을 보인다는 분석이다.

기획재정부는 16일 '최근 경제동향(그린북)' 6월호에서 "수출·제조업 중심으로 경기 둔화가 이어지고 있다"고 밝혔다.

지난 2월 그린북에서 처음 한국경제를 둔화 국면으로 판단한 이후 다섯 달째 같은 진단이다.

지난달 수출은 1년 전보다 15.2% 감소했다.

작년 10월부터 8개월째 감소세가 이어지고 있다.

자동차와 일반기계 수출은 소폭 증가했으나, 반도체와 선박, 컴퓨터, 석유제품 등 대부분 품목의 수출은 감소했다.

수출이 줄면서 5월 21억2천만달러의 무역 적자가 발생했다.

다만 적자 폭은 지난 1월 125억3천만달러를 기록한 뒤 2월(53억2천만달러), 3월(47억4천만달러), 4월(27억3천만달러)에 걸쳐 지속해서 줄고 있다.

4월 경상수지 또한 7억9천만달러 적자를 기록했다.

다만 상품수지는 무역적자 축소로 7개월 만에 흑자(5억8천만달러) 전환했고, 서비스 수지도 적자 폭이 축소됐다.

정부, 5개월째 '경기 둔화' 진단…"하방 위험은 다소 완화"
정부는 내수가 완만한 회복세를 보이고 있으며, 경제 심리도 개선됐다고 진단했다
4월 소매 판매는 내구재와 준내구재 모두 감소해 전월보다 2.3%, 전년 동월보다 1.1% 줄었다.

다만 소비자심리지수(CSI)는 전월보다 2.9포인트(p) 상승한 98.0을 기록했다.

1분기 민간소비(GDP 잠정치)도 작년 동기 대비 4.6% 증가했다.

5월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3.3%를 기록했다.

지난 1월 5.2%의 상승률을 기록한 후 둔화 흐름이 이어지고 있다.

농·축·수산물과 석유류 가격이 안정세에 접어들고, 가공식품과 외식 등 개인 서비스 오름세도 완화하면서 전반적인 물가 상승률 하락이 나타났다는 분석이다.

5월 취업자는 작년 동월보다 35만1천명 늘며 증가세가 이어졌다.

실업률은 2.7%로 작년보다 0.3%p 하락했다.

정부는 이처럼 물가 상승률이 둔화하고, 고용 증가세가 이어지면서 경제 하방 위험이 다소 완화되는 모습이라고 판단했다.

다만 중국의 경제활동 재개 영향 및 글로벌 정보통신(IT) 업황, 우크라이나 전쟁 장기화 등으로 인한 불확실성은 여전히 남아있다고 봤다.

정부는 "확고한 물가·민생 안정과 대내외 리스크 관리에 만전을 기하고, 하반기 수출·투자 내수 활력 제고와 경제체질의 구조적 개선에 집중하겠다"고 밝혔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