홍콩 '중국화' 와중에…"톈안먼 '역사지우기' 안돼" 이례적 목소리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현지 유력지, 톈안먼 민주화시위 34주년 맞아 강조
중국의 톈안먼 민주화 시위 관련 ‘역사 지우기’ 행보와 관련, 홍콩 유력지가 당국 조치를 비판했다. 홍콩도 중국화하면서 언론의 당국 비판이 점차 사라지는 와중에 이례적 목소리가 나온 것이라 주목된다.
홍콩 명보는 톈안먼 민주화 시위 34주년을 맞은 4일 사설을 통해 “1989년 시위는 애국적 민주화 운동이며 폭력적 수단으로 탄압돼서는 안 된다”면서 “당국은 ‘정치 풍파’에 대해 이미 분명한 결론을 내리고 외부 세력이 중국 내정에 간섭하는 것을 반대한다고 강조했지만, 당국은 과거의 잘못을 포함한 역사를 직시하고 6·4에 대한 진실을 복원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중국 인민해방군은 1989년 톈안먼 광장에 몰린 민주화 시위 인파를 유혈 진압했다. 서방에선 당시 사망자가 수천명에 달한다고 추산했다.
이달 1일 중국 외교부 관계자는 톈안먼 민주화 시위와 관련해 중국 정부의 ‘학살’ 책임을 인정하고 유족에 사과하라는 국제 인권단체 요구에 대해 “일찌감치 정론(사안에 대한 확정된 입장이나 결론)이 나온 일”이라며 “우리는 이런 조직이 인권 문제를 빌미로 중국의 내정에 간섭하는 것에 일관되게 반대해왔다”고 언급했다.
앞서 중국 공산당은 2021년 11월 제3차 역사결의를 통해 톈안먼 민주화 시위와 유혈 진압을 구체적으로 언급하지 않고 대신 “엄중한 정치 풍파”라고 표현한 바 있다.
명보는 “홍콩은 국가 안보를 수호할 책임이 있으며 외부 세력과 명확한 선을 그어야 한다. 반중 세력이 민주주의와 인권이라는 명목으로 6·4 사건을 이용하려는 속셈도 분명히 있다”면서도 “하지만 애국심에서 당국이 역사를 직시하고 6·4 운동의 정당성을 복권해주기를 바라는 이들도 많다”고 덧붙였다.
명보는 또한 별도 기사에서도 홍콩 정부 관리들이 의도적으로 ‘6월4일’이나 ‘톈안먼’ 같은 직접적 표현을 피하고 “특별한 때” 등으로 에둘러 언급하는 점도 역효과를 낸다고 보도했다. 그간 당국 통제로 톈안먼 민주화 시위 자체를 몰랐던 중국의 젊은 세대가 오히려 관심을 갖는 계기가 될 수 있다는 것이다.
김봉구 한경닷컴 기자 kbk9@hankyung.com
홍콩 명보는 톈안먼 민주화 시위 34주년을 맞은 4일 사설을 통해 “1989년 시위는 애국적 민주화 운동이며 폭력적 수단으로 탄압돼서는 안 된다”면서 “당국은 ‘정치 풍파’에 대해 이미 분명한 결론을 내리고 외부 세력이 중국 내정에 간섭하는 것을 반대한다고 강조했지만, 당국은 과거의 잘못을 포함한 역사를 직시하고 6·4에 대한 진실을 복원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중국 인민해방군은 1989년 톈안먼 광장에 몰린 민주화 시위 인파를 유혈 진압했다. 서방에선 당시 사망자가 수천명에 달한다고 추산했다.
이달 1일 중국 외교부 관계자는 톈안먼 민주화 시위와 관련해 중국 정부의 ‘학살’ 책임을 인정하고 유족에 사과하라는 국제 인권단체 요구에 대해 “일찌감치 정론(사안에 대한 확정된 입장이나 결론)이 나온 일”이라며 “우리는 이런 조직이 인권 문제를 빌미로 중국의 내정에 간섭하는 것에 일관되게 반대해왔다”고 언급했다.
앞서 중국 공산당은 2021년 11월 제3차 역사결의를 통해 톈안먼 민주화 시위와 유혈 진압을 구체적으로 언급하지 않고 대신 “엄중한 정치 풍파”라고 표현한 바 있다.
명보는 “홍콩은 국가 안보를 수호할 책임이 있으며 외부 세력과 명확한 선을 그어야 한다. 반중 세력이 민주주의와 인권이라는 명목으로 6·4 사건을 이용하려는 속셈도 분명히 있다”면서도 “하지만 애국심에서 당국이 역사를 직시하고 6·4 운동의 정당성을 복권해주기를 바라는 이들도 많다”고 덧붙였다.
명보는 또한 별도 기사에서도 홍콩 정부 관리들이 의도적으로 ‘6월4일’이나 ‘톈안먼’ 같은 직접적 표현을 피하고 “특별한 때” 등으로 에둘러 언급하는 점도 역효과를 낸다고 보도했다. 그간 당국 통제로 톈안먼 민주화 시위 자체를 몰랐던 중국의 젊은 세대가 오히려 관심을 갖는 계기가 될 수 있다는 것이다.
김봉구 한경닷컴 기자 kbk9@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