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뉴스1
사진=뉴스1
"현시각 적 잠수함발사탄도미사일(SLBM) 탑재 잠수함을 비롯한 잠수함 수척이 미식별 중. 함 총원은 대공·대잠경계 강화에 최선을 다할 것."

지난 16일 해무가 짙게 내려앉은 부산 가덕도 앞바다. 우리 해군 최초의 이지스 구축함 세종대왕함(DDG-991) 내부에는 비상이 걸렸다. 핵무기도 실을 수 있는 SLBM을 탑재한 적 잠수함의 도발 움직임을 포착한 것. 세종대왕함 승조원들은 즉시 경계 태세를 상향하고 무장운용태세를 적으로 식별된 표적에 한해 교전이 가능한 상태로 조정했다.

해군은 이날 SLBM을 탑재한 적 잠수함의 도발을 가정해 대잠·대탄도탄 모의 훈련을 실시했다. 훈련은 세종대왕함이 적 잠수함의 활동 정보를 입수한 가운데 미상발사체가 북동쪽 방향으로 비행하는 것을 포착하면서 시작됐다.
사진=뉴스1
사진=뉴스1
세종대왕함 작전통제실은 즉시 발사체의 비행궤적과 특성을 식별해 합동참모본부 등으로 전송했다. 작전 돌입부터 마무리까지 모든 과정은 수분 만에 이뤄졌다. SPY-1D 레이더 기반의 이지스 전투체계를 탑재한 덕분이다. 이를 통해 최대 1000km 밖에서 1000여개의 표적을 동시에 탐지·추적할 수 있고, 20여개의 표적을 동시에 공격하는 것도 가능하다.

해군은 이어 은밀히 침투해오는 적 잠수함을 탐지·응징하는 대잠전 훈련에 돌입했다. 수중 미식별 접촉물을 탐지한 군은 P-3 해상초계기를 통해 소노부이 4발을 투하했다. 소노부이는 수중에서 음파를 발생시켜 수중접촉물을 탐지하는 휴대용 소나다. 곧이어 나타난 링스(Lynx) 해상작전헬기가 수중의 소리를 청취하는 디핑소나를 투하했다.
사진=연합뉴스
사진=연합뉴스
적 잠수함의 위치를 식별한 우리 군이 경고 신호를 보내자 적 잠수함은 세종대왕함을 향해 어뢰를 발사했다. 세종대왕함은 즉시 음향대항체계(TACM)를 발사하면서 전속으로 기동하며 어뢰를 회피하는 데 성공했다.

이어 대잠 무기인 경어뢰 청상어와 대잠유도무기 홍상어를 발사해 즉각 보복에 나섰다. 수중정보실에서는 잠시 후 수중 폭발음을 청취했고, 적 잠수함의 부유물과 기름띠를 확인하면서 상황은 마무리됐다.

김성필 세종대왕함장은 “우리 세종대왕함은 적의 다양한 위협에 대비해 실전과 같은 강도 높은 교육·훈련으로 최상의 전투준비태세를 유지하고 있다”며 “언제, 어디서, 어떠한 상황에서도 적이 도발하면 단호하고 강력하게 응징하겠다”고 말했다.

이번 훈련은 나날이 고도화되는 북한의 핵·미사일 위협에 대응하는 '해상기반 한국형 3축 체계'를 강화하기 위해 실시됐다. 3축체계는 북한 핵·미사일을 선제 타격하는 킬체인, 북한이 쏜 미사일을 요격하는 한국형미사일방어체계(KAMD), 탄도미사일을 발사해 북한을 응징하는 대량응징보복(KMPR)으로 구성된다.

북한이 최근 해일은 수중에서 이동해 폭발하는 ‘핵 어뢰’ 개념의 무인수중공격정 ‘해일’을 공개하고, 핵도발이 가능한 SLBM을 은밀히 운용하는 상황에서 해상기반 3축 체계 강화가 필수적이라는 평가다.

이지스 구축함과 도산안창호급 잠수함을 이용한 해상기반 3축 체계는 한반도 주변 바다 어디에서든 다양한 임무를 수행할 수 있고, 북한의 탐지권 밖에서 기동해 생존성을 극대화할 수 있으며, 바다에서 대량응징 보복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적의 탄도미사이를 요격할 수 있는 정조대왕함이 취역하면 우리 해군의 ‘수중 킬체인’ 능력이 한층 강화될 전망이다.

'SLBM 탑재' 도산안창호함 내부 공개

이튿날인 17일 해군은 국내 최초로 SLBM을 수직 발사할 수 있는 잠수함인 3000t급 도산안창호함 내부를 공개했다. 도산안창호함 내부가 언론에 공개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사진=뉴스1
사진=뉴스1
원형 해치를 열고 들어간 함 내부는 성인 남성이 양팔을 다 벌리기 힘들 정도로 비좁았다. 승조원이 잠을 자는 승조원실은 3인실과 6인실 등으로 구성돼 있었는데 간신히 몸을 구겨 넣을 수 있을 정도로 넓지 않았다. 해군 관계자는 "개인침실이 없는 손원일급에서는 번갈아 가면서 침대를 사용하기 때문에 항상 데워져 있었다"며 "이전 잠수함에 비하면 5성 호텔급"이라고 말했다.
北 잠수함 찾아내 즉시 응징…'SLBM 철통방어' 세종대왕함 [르포]
도산안창호함은 국산화율 76%에 달하는 만큼 전산시스템도 한글로 이뤄져있었다. 다른 군함 대부분이 영문 시스템을 사용하고 있는 것과 비교할 때 국산화 측면에서 큰 진전을 이룬 것이다.

내년부터는 우리 잠수함 가운데 처음으로 여군이 탑승할 예정이다. 해군은 이달 말까지는 잠수함에 승함할 여군 장교를 뽑고 다음 달까지 여군 부사관 지원을 받아 선발 과정에 착수할 방침이다. 선발된 여군은 3인실을 사용하게 된다.

김형균 도산안창호함장은 "도산안창호함은 대양작전과 장기작전 수행에 최적화된 세계적 수준의 잠수함으로서 강력한 해양강군의 핵심 축이자 전방위 위협에 대응하는 국가 전략 무기체계"라며 "승조원 모두가 최고도의 결전태세를 확립해 전략적 비수로서 우리 바다를 굳건히 지키겠다"고 밝혔다.

세종대왕함·도산안창호함=맹진규 기자 maeng@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