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병언 기자
김병언 기자
“차기 원내대표는 자정 능력 확대, 민생 입법 드라이브, 검찰 대응 능력 등 삼박자를 갖춰야 합니다.”

28일 치러지는 더불어민주당 원내대표 선거에 출마한 박범계 의원은 지난 25일 한국경제신문 기자와 만나 “민생 입법 투쟁을 과감히 펼치겠다”며 이같이 말했다. 원내대표 후보 등록 마감 직전 ‘깜짝 출마’를 선언한 박 의원은 문재인 정부 때 민주당 최고위원, 법무부 장관 등을 지냈다. 박 의원은 “의원들은 내년 총선 승리를 이끌 원내대표를 원한다”며 “원내대표가 된다면 검찰과 투쟁하며 민생 입법을 강력하게 추진하겠다”고 밝혔다.

박 의원은 ‘전당대회 돈봉투’ 의혹으로 민주당의 자정 능력이 의심받고 있다며 “이런 우려를 해소할 원내대표 적임자가 바로 나”라고 했다. 자정 능력을 높이기 위한 방안으로는 대의원제 축소와 권리당원의 영향력 확대를 제시했다. 박 의원은 “줄 세우기 정치를 없애고, 선거 때 검은돈의 유혹을 뿌리치기 위해서는 아래로부터의 개혁이 필요하다”며 “이를 통해 팬덤 현상도 극복할 수 있다”고 강조했다.

권리당원 영향력 확대가 강성 지지층이 많은 이재명 대표에게 유리할 수 있다는 지적엔 “당장은 이 대표가 유리할 수 있다”면서도 “이 대표도 혁신을 거듭하지 않으면 얼마든지 시험대에 오를 수 있다”고 답했다.

적극적인 민생 입법도 강조했다. 박 의원은 가장 먼저 추진할 정책으로 기본금융을 꼽았다. 기본금융은 이 대표가 구상하는 기본소득·기본주거·기본금융 등 ‘기본 시리즈’ 중 하나다. 모든 성인에게 낮은 이자에 최대 1000만원을 대출해 주는 것이 골자다. 박 의원은 “취약계층과 청년 창업가가 무이자 수준으로 대출받을 수 있도록 돕겠다”며 “이외에도 민생을 위한 핵심 정책 다섯 가지를 발굴해 추진하겠다”고 말했다. 노동조합법 개정안(노란봉투법), 방송법 개정안 등 쟁점 법안은 더욱 강경하게 밀어붙이겠다고도 했다. 그는 “쟁점 법안의 본회의 직회부 그 자체보다 어떤 법안을 직회부하는지가 중요하다”며 “민생 입법 직회부에는 (여당도) 함부로 얘기하지 못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박 의원은 야당을 겨냥한 검찰의 수사로 민주당이 분열하는 것을 가장 경계해야 한다고 했다. 인터뷰 내내 ‘검찰과의 맞짱’을 강조하며 검찰에 맞서 민주당이 똘똘 뭉쳐야 한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그는 “검찰이 ‘녹취록 정국’을 이어가는 데는 한계가 있을 것”이라며 “이 대표에 대한 정치 탄압이 과하다는 여론이 높아지면서 사법 리스크도 낮아졌다”고 주장했다.

한재영/원종환 기자 jyhan@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