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세 사기 피해 임차인 우선매수권 부여 추진"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국민의힘 박대출 정책위의장은 이날 오전 국회에서 전세 사기 근절 및 피해 지원 관련 당정협의회를 마치고 "전세 사기 피해자에게 실질적인 도움을 주는 방안을 밀도 있게 논의했다"며 이런 내용을 설명했다.
ADVERTISEMENT
그는 "피해 주택 경매 때 일정 기준에 맞춰 임차인에게 우선매수권을 부여할 수 있도록 제도적 보완방안을 적극 검토하겠다"고 밝혔다.
ADVERTISEMENT
이어 "피해 임차인이 거주 주택 낙찰 시 구입자금을 마련할 수 있도록 저리 대출을 충분한 거치기간을 두어 지원하는 방안도 추진하겠다"고 덧붙였다.
박 의장은 "당정은 임차인 권리 보호와 낙찰자 이해관계가 균형을 이룰 수 있는 합리적 방안에 대해 보다 심도 있는 논의를 이어가기로 의견을 모았다"고 강조했다.
ADVERTISEMENT
피해 임차인들이 각종 지원책을 활용할 수 있도록 '찾아가는 서비스'를 즉시 확대하겠다며 "피해 임차인이 많은 지역은 현장 부스를 설치해 '찾아가는 상담버스'를 내일부터 운영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박 의장은 "인천 유력 정치인 개입 의혹이 있는 '건축왕' 남모씨 전세 사기 사건은 호화 변호인단을 선임한 배경 등을 포함해 경찰청 특별수사를 요청하겠다"고도 말했다.
ADVERTISEMENT
다만 박 의장은 공공매입에 대해서는 선을 그었다.
그는 "야당에서는 공공이 임차인 보증금을 우선 반환하라고 주장하지만 전세 사기 물건은 선순위 채권 등으로 피해자에게 돌아갈 금액이 없거나 부족하다"며 "공공이 손해를 감수하며 매입하더라도 선순위 채권자에게만 이익이 돌아가 근본적인 피해자 구제 방안이 될 수 없다"고 지적했다.
박 의장은 "전수조사 결과 전세 사기 피해 물건 선순위 근저당이 최대한도로 돼 있기에 (공공매입을 해도) 피해자에게 갈 수 있는 금액이 사실상 제로(0)로 조사됐다"고 밝혔다.
이어 "사인 간 채무, 악성 임대인 채무를 공적 재원으로 대신 변제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을 뿐 아니라 국민 부담으로 전가될 뿐"이라고 덧붙였다.
(사진=연합뉴스)
이영호기자 hoya@wowtv.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