환경단체 "영산강 보 활용 가뭄대책, 과학적 근거 없다"
영산강과 섬진강 유역에서 활동하는 환경단체는 10일 4대강 보를 활용한 윤석열 정부의 중장기 가뭄대책을 두고 "과학적인 근거가 없다"고 주장했다.

영산강살리기네트워크 등은 이날 영산강유역환경청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어 "박근혜 정부 시절 4대강조사평가위원회가 용수 부족 발생 지역과 4대강 사업으로 가용 수량을 확보한 지역이 불일치한다고 정리했다"며 "4대강 보가 가뭄 대책이 될 수 없는 이유는 명확하다"고 밝혔다.

이들은 "온갖 오염원이 흘러든 영산강은 승촌보와 죽산보에서 정체되기 때문에 보의 물을 식수원으로 사용하겠다는 구상은 문제를 제대로 파악하지 못한 대책"이라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정체된 영산강 물로 재배한 쌀에서 녹조 독소인 마이크로시스틴이 검출됐다"며 "고인 물은 썩고, 썩은 물은 국민의 생명과 안전을 위협한다는 사실이 과학적으로 확인되고 있다"고 지적했다.

또 "광주시가 식수난에 대비하고자 올해 3월부터 덕흥보에서 취수한 물은 높은 비용을 들여 고도 정수해 기존 상수원인 동복호의 물과 혼합해 공급한다"며 "덕흥보는 4대강 보와 무관하게 광주천이 영산강으로 유입되는 상류에 있다"고 강조했다.

이들은 "승촌보와 죽산보를 해체하고 하굿둑에 막힌 물이 흘러야 영산강이 살아나고 그 물을 상수원으로도 사용할 수 있을 것"이라며 "강을 되살리는 정책을 시행하라"고 요구했다.

환경부는 최근 윤 대통령이 전남 순천시 주암조절지댐을 방문해 지시한 사항을 반영해 4대강 보를 '물그릇'으로 활용하는 중장기 가뭄대책을 발표했다.

윤 대통령은 주암조절지댐에서 "지역 간 댐과 하천 물길을 연결해 시급한 지역에 우선 (물을) 공급하고 지하수 등 가용한 수자원을 총동원하라"라고 지시했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