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연합뉴스
사진=연합뉴스
통계청은 지난 3월 소비자물가가 전년 동기 대비 4.2% 상승했다고 4일 발표했다. 지난 2월(4.8%)에 이어 두 달 연속 4%대를 유지하면서 물가가 상승하되 상승률이 떨어지는 디스인플레이션이 나타나고 있다는 분석이 나온다.

통계청이 이날 발표한 ‘2023년 3월 소비자물가동향’에 따르면 지난달 소비자물가지수는 110.56(2020년=100)으로, 전년 동기 대비 4.2% 상승했다. 전월 대비로는 0.2% 올랐다. 지난달 물가 상승률이 두 달 연속 4%대를 유지한 이유는 그동안 전방위적인 물가 상승을 이끌어온 석유류 가격이 크게 하락했기 때문이다. 지난달 석유류 가격은 전년 동월 대비 14.2% 하락했다.

통계청 관계자는 “석유류 가격이 전월 대비 두 자릿수 비율로 하락하면서 전반적인 하락세에 기여했다”고 말했다. 다만 신선식품지수는 전년 동기 대비 7.3% 상승했다. 품목별로 보면 신선채소가 전년 동기 대비 13.9% 올랐다.

정부는 특별한 외부 충격이 없다면 4%대에 진입한 물가 상승률의 안정 흐름이 지속할 것으로 전망했다. 통계청 관계자는 “작년 말부터 물가 상승 움직임이 둔화되고 있다”며 “올 하반기에도 안정화될 가능성이 높다”고 밝혔다.

물가 상승률은 작년 6월(6.0%) 6%대로 올라선 뒤 7월 6.3%로 정점을 찍었다. 이후 8월(5.7%) 9월(5.6%) 10월(5.7%) 11월(5.0%) 12월(5.0%) 올해 1월(5.2%)까지 6개월 연속 5%대 상승률을 보였다.

다만 전기·가스·수도 등 공공요금 인상 여부에 따라 물가 불확실성이 상존하고 있다는 것이 통계청 설명이다. 특히 지난달 전기·가스·수도 가격은 지난 2월에 이어 전년 동월 대비 28.4% 급증했다. 28.4%의 상승률은 통계청이 전기·가스·수도의 가격을 집계하기 시작한 2010년 1월 이래 역대 최고 상승률이다.

강경민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