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ECD "올해 한국경제 1.6% 성장 그쳐"...0.2%p 낮춘 암울한 전망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OECD, 중간 경제전망 발표...내년 성장률 전망치는 0.4%p 올린 2.3%
물가상승률은 올해 3.6%, 내년 2.4%로 전망
물가상승률은 올해 3.6%, 내년 2.4%로 전망
경제협력개발기구(OECD)가 올해 우리나라의 경제성장률 전망치를 1.6%로 낮춰 잡았다.
기획재정부에 따르면 OECD는 17일(현지시간) 발표한 'OECD 중간 경제전망(OECD Interim Economic Outlook)'에서 우리나라의 올해 경제성장률 전망치를 1.6%로 하향 조정했다. 이는 OECD가 지난해 11월 제시했던 전망치 1.8%보다 0.2%포인트 낮은 수준이다.
이는 정부(지난해 12월 전망)와 한국은행(올해 2월 전망)의 전망치인 1.6%와 같고, 한국개발연구원(KDI)의 올해 2월 전망치인 1.8%보다는 낮은 수준이다.
OECD는 "우리나라가 호주와 함께 중국 성장 반등의 수혜를 볼 것"이라면서도 "타이트한 금융여건에 따른 영향이 상쇄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다만 내년 한국 경제성장률은 지난해 11월 전망 때보다 0.4%포인트 상향조정한 2.3%로 내다봤다.
OECD는 우리나라 물가상승률의 경우 올해는 3.6%로, 지난해 11월 전망치보다 0.3%p 내려 잡았다. 하지만 내년은 2.4%로 지난번 전망치보다 0.1%p 올려 잡았다.
세계경제 성장률은 올해 2.6%, 내년 2.9%로, 지난해 11월 전망 대비 각각 0.4%p, 0.2%p 상향 조정했다. 세계 평균 물가상승률은 올해는 지난 전망보다 0.1%p 내린 5.9%, 내년은 0.9% 낮춰 잡은 4.5%로 관측했다.
OECD는 "기업·소비심리 개선, 에너지·식량 가격 하락, 중국의 완전한 리오프닝 등 긍정적 신호가 나타나고 있다"며 "세계경제가 올해와 내년에 걸쳐 완만하게 회복하고, 인플레이션은 점진적으로 둔화될 것으로 전망된다"고 밝혔다.
OECD는 향후 정책방향으로 통화긴축, 취약계층에 타게팅된 재정정책, 구조적 개혁 노력 재개, 기후위기 등에 대한 공동대응을 강조했다.
특히 물가압력 완화 신호가 뚜렷해질 때까지 통화긴축 기조를 지속할 것을 권고하면서, 미국과 유로존 등 대다수 국가에 추가 금리 인상이 여전히 필요하다는 점을 지적했다.
또한 생산성 향상과 공급제약 완화를 위해 기업 역동성 제고, 국경 간 교역장벽 완화, 인적교류 활성화, 유연하고 포용적인 노동시장 조성 등 구조적 개혁 노력이 필요하다고 권고했다. 전민정기자 jmj@wowtv.co.kr
기획재정부에 따르면 OECD는 17일(현지시간) 발표한 'OECD 중간 경제전망(OECD Interim Economic Outlook)'에서 우리나라의 올해 경제성장률 전망치를 1.6%로 하향 조정했다. 이는 OECD가 지난해 11월 제시했던 전망치 1.8%보다 0.2%포인트 낮은 수준이다.
이는 정부(지난해 12월 전망)와 한국은행(올해 2월 전망)의 전망치인 1.6%와 같고, 한국개발연구원(KDI)의 올해 2월 전망치인 1.8%보다는 낮은 수준이다.
OECD는 "우리나라가 호주와 함께 중국 성장 반등의 수혜를 볼 것"이라면서도 "타이트한 금융여건에 따른 영향이 상쇄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다만 내년 한국 경제성장률은 지난해 11월 전망 때보다 0.4%포인트 상향조정한 2.3%로 내다봤다.
OECD는 우리나라 물가상승률의 경우 올해는 3.6%로, 지난해 11월 전망치보다 0.3%p 내려 잡았다. 하지만 내년은 2.4%로 지난번 전망치보다 0.1%p 올려 잡았다.
세계경제 성장률은 올해 2.6%, 내년 2.9%로, 지난해 11월 전망 대비 각각 0.4%p, 0.2%p 상향 조정했다. 세계 평균 물가상승률은 올해는 지난 전망보다 0.1%p 내린 5.9%, 내년은 0.9% 낮춰 잡은 4.5%로 관측했다.
OECD는 "기업·소비심리 개선, 에너지·식량 가격 하락, 중국의 완전한 리오프닝 등 긍정적 신호가 나타나고 있다"며 "세계경제가 올해와 내년에 걸쳐 완만하게 회복하고, 인플레이션은 점진적으로 둔화될 것으로 전망된다"고 밝혔다.
OECD는 향후 정책방향으로 통화긴축, 취약계층에 타게팅된 재정정책, 구조적 개혁 노력 재개, 기후위기 등에 대한 공동대응을 강조했다.
특히 물가압력 완화 신호가 뚜렷해질 때까지 통화긴축 기조를 지속할 것을 권고하면서, 미국과 유로존 등 대다수 국가에 추가 금리 인상이 여전히 필요하다는 점을 지적했다.
또한 생산성 향상과 공급제약 완화를 위해 기업 역동성 제고, 국경 간 교역장벽 완화, 인적교류 활성화, 유연하고 포용적인 노동시장 조성 등 구조적 개혁 노력이 필요하다고 권고했다. 전민정기자 jmj@wowtv.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