게티이미지뱅크
게티이미지뱅크
인공지능(AI) 콘텐츠 생성 플랫폼 뤼튼을 운영하는 뤼튼테크놀로지스가 최대 1억원의 연봉을 내걸고 국내 기업 최초로 AI 프롬프트 엔지니어(Prompt Engineer)를 공개 채용한다고 15일 밝혔다.

프롬프트 엔지니어는 AI가 더 좋은 답변을 할 수 있도록 다양한 목적의 프롬프트(명령어)를 제작하고 테스트하는 업무를 한다. 생성 AI와 관련된 새로운 직업으로, 스마트폰이 생기면서 안드로이드나 iOS 앱 개발자가 생긴 것과 비슷한 맥락이다.

최근 프롬프트 엔지니어가 주목받게 된 이유는 AI에 입력하는 질문 수준에 따라 성과가 달라지기 때문이다. 챗GPT 등 생성 AI는 질문에 따라 다른 결과 값을 내다 보니 AI에게 어떤 지시를 내리는 지에 따라 활용도가 달라지고, 궁극적으로 서비스 퀄리티에서 차이를 만든다.
"대화할 사람 찾아요"…억대 연봉 내건 '이 직업'
미국 실리콘밸리 빅테크들은 이미 프롬프트 엔지니어 영입 경쟁을 벌이고 있다. 구글이 5000억원을 투자한 샌프란시스코의 AI 스타트업 앤스로픽이 대표적이다. 빅테크뿐만 아니라 영국의 대형 로펌 미시콘데레야도 초거대 언어모델 프롬프트 엔지니어를 공개적으로 채용하고 있다. 특이한 점은 엔지니어라는 타이틀이 무색하게 코딩(개발) 능력보다 생성 AI에 대한 사용 경험과 논리적, 언어적 관점에서 AI와 ‘잘 대화할 수 있는지’가 중요하다는 사실이다.

뤼튼 역시 코딩 지식과는 무관하게 프롬프트 엔지니어를 선발할 방침이다. 이세영 뤼튼테크놀로지스 대표는 “미래에는 코딩 지식보다 창의적인 생각이 중요하다는 관점에서 국내 최초로 ‘AI와 대화하는 엔지니어’를 채용하게 됐다”며 “전 직군 채용과 프롬프트 해커톤 개최 등을 통해 비영어권 유저들도 챗GPT 등 영어권 중심 서비스의 한계를 넘어 다양한 생성 AI를 경험할 수 있도록 저변을 확대하겠다”고 말했다.

최다은 기자 max@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