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정부의 부채한도 증액이 적기에 이뤄지지 않으면 수백만 명의 일자리가 없어질 수 있다는 경고가 나왔다.

7일(현지시간) 뉴욕타임스(NYT)에 따르면 마크 잔디 무디스애널리틱스 수석이코노미스트는 동료들과 함께 이러한 내용의 서면 보고서를 이날 상원 은행위원회 산하 경제정책소위원회에 제출했다.

보고서에 따르면 의회가 여러 달 동안 부채한도 증액에 합의하지 못한 채 이번 사태가 장기화하면 2008년과 비슷한 금융위기가 발생할 수 있다. 700만 명의 일자리가 없어지고, 실업률도 현재 3.4%에서 8% 이상으로 올라갈 수 있다는 예상도 보고서에 포함됐다.
잔디 수석이코노미스트는 "유일한 현실적인 선택은 의원들이 적기에 부채한도를 늘리는 데 합의하는 것"이라며 "다른(합의에 실패하는) 시나리오는 심각한 경제 타격으로 결론 날 수 있다"고 경고했다.

조 바이든 대통령이 '연방정부 지출을 확 줄이라'는 공화당의 요구를 받아들이더라도 상당한 침체는 불가피하다고 보고서는 지적했다. 공화당의 주장대로 연방 정부의 지출을 급격하게 줄인다면 경기 부양 예산을 삭감할 수밖에 없어 내년에 경기 침체에 빠질 수밖에 없다는 논리다. 이에 따라 260만 명의 실업자가 발생할 것으로 관측된다. 무디스와 동료들은 연방정부의 보유 현금이 소진되는 'X 데이트'를 오는 8월 15일로 예상했다.

제롬 파월 미국 중앙은행(Fed)의장도 부채한도 상향 문제와 관련 "(부채한도 협의에) 실패할 경우 닥칠 나쁜 결과는 예측하기 어렵지만 매우 (경제에) 해가 되고 장기적으로 부정적일 것"이라고 밝혔다.

한편 일각에선 미국 월스트리트 투자자들이 미국 부채한도 문제의 심각성을 간과하고 있다고 지적하고 있다. 블룸버그는 이날 "(미국) 금융 시장은 부채한도 문제에 대해 걱정하는 기색을 보이지 않고 위험을 무시하고 있다"고 진단했다. 하지만 현재 정치권의 부채한도 협상이 이전보다 더 어려운 모습을 보인다고 보도했다.

잭 말비 미국 금융안정센터 특별 고문은 "국채 디폴트라는 최악의 경우가 일어나면 이로 인한 미국 경제 부담이 사라질 때까지 수년이 걸릴 것"이라고 경고했다.

박신영 기자 nyusos@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