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게티이미지뱅크
사진=게티이미지뱅크
D램 시장이 반등하려면 여전히 시간이 필요하다는 분석이 제기됐다. 정보기술(IT) 기기 수요 등이 회복되지 않았다는 판단에서다. 증권가에선 앞으로 정책 변화와 감산에 주목해야 한다고 제안했다.

6일 김운호 IBK투자증권 연구원은 "D램 시장의 하락세엔 코로나19 이후 급감한 IT 기기 수요, 초과 재고, 긴축으로 인한 소비 감소 등 3가지 요인이 작용했다"고 설명했다.

먼저 김 연구원은 "IT 산업은 다른 산업에 비해 코로나19 기간 혜택을 입었다"면서도 "이후 소비가 둔화하자 IT 수요가 급격히 하락했다"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수요를 해결하기 위해선 서비스로 집중되고 있는 소비가 IT로 유입돼야 한다"며 "중국 시장도 IT보단 서비스 소비에 나설 것으로 보여 중국의 수요 회복이 전 세계 IT 시장의 부진을 개선하긴 힘들 것"이라고 봤다.

김 연구원은 반도체 재고 수준이 높은 점도 지적했다. 그는 "지난해 공급업체들이 역대 최대 규모로 투자한 것에 반해 수요는 감소해 재고가 많이 늘어났다"며 "생산량을 극단적으로 줄이지 않는 한 재고 소진은 어려울 것"이라고 내다봤다.

김 연구원은 긴축 정책이 이어지는 점도 D램 시장에 부정적이라고 했다. 그는 "D램 시장의 위기는 금리가 인하되고 실업률이 올라가는 시기에 발생한다"며 "인플레이션에 대한 우려가 있어 금리는 여전히 오르고 있고, 실업률과 정책의 유의미한 변화도 감지되지 않고 있다"고 말했다. 아울러 "정책 변화가 나타나는 시점부터 수요 압박이 해소돼 재고가 줄어들 것"이라고 전망했다.

IBK투자증권은 지난해 4분기 SK하이닉스 등 D램 공급업체가 가격 방어보다 판매량 증가에 집중했지만, 고객사가 재고 조정을 한 여파로 부진한 실적을 거뒀다고 분석했다. 다만 삼성전자의 경우 3분기 비트그로스(비트 단위로 환산한 공급량)가 상대적으로 낮아 전 분기보다 공급량이 늘었다고 평가했다. 이 증권사는 올해 2분기부터 D램 수요가 회복돼, 가격하락 폭이 완화될 것으로 전망했다.

진영기 한경닷컴 기자 young71@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