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형 주택가격지수' 개발…실거래 시차 15일로 단축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서울시, 3월부터 시범 운영 후 연내 공개…"정보 불균형 해소"
서울시는 주택시장의 거래 현황을 빠르게 파악할 수 있도록 '서울형 주택실거래가격지수'를 개발했다고 6일 밝혔다.
서울형 주택실거래가격지수는 신고일을 기준으로 실거래가를 분석·공표하기까지 시차를 15일로 단축했다.
한국부동산원의 기존 실거래가지수는 계약일을 기준으로 지수를 산정하는 방식이라 공표 시차가 45일에서 최대 90일까지 발생해 실시간 시장 상황을 제때 파악하기 어려웠다.
이에 시는 부동산 가격 하락 등으로 시장의 불확실성이 커지는 상황에서 기존 지수의 한계를 보완해 실제 거래에 활용할 수 있는 데이터가 필요하다고 판단, 작년부터 실거래가 기반의 지표 개발을 추진했다.
시가 개발한 주택실거래가격지수는 ▲ 25개 자치구별 ▲ 주택유형(아파트·연립다세대)별 ▲ 주택면적별 ▲ 건축연한별 하부 시장지표를 제공해 시장 가격변화를 구체적으로 확인하는 데 도움을 준다.
시내 1천세대 이상 375개 아파트 단지의 가격변화를 반영한 '선도아파트 375지수' 지표를 활용하면 대규모 아파트 거래 경향까지도 파악할 수 있다.
현재는 다양한 기관들이 실거래가, 호가 등의 자료를 기초로 주택시장의 주·월 단위 지수를 생산해 공개한다.
그러나 시세 기반 지수는 조사자의 주관이 반영돼 실제 주택시장 상황을 반영하지 못하고 오히려 주택시장 심리 불안과 시장 왜곡 등을 초래한다는 지적이 제기됐다.
국가승인통계기관인 한국부동산원이 발표하는 표본가격지수(시세) 역시 조사원의 주관적 평가가 반영될 소지가 있어 객관적이고 정확하게 시장 상황을 설명하는 데 한계가 있었다.
시는 3월부터 서울형 주택실거래가격지수를 내부적으로 시범 운영한다.
동시에 외부 전문위원을 중심으로 한 '서울형 주택가격지수 검증위원회'를 구성해 데이터의 전문성과 공신력을 확보한 뒤 연내 시민에 공개하고 본격적으로 운영할 계획이다.
정식 운영을 시작하면 서울시주거포털 내 '전월세정보몽땅'과 민간 부동산 플랫폼 '부동산플래닛', 'R114' 등 플랫폼에서 해당 지수를 확인할 수 있다.
시는 매월 안정적인 지수 생산·활용을 위해 시 주택정책지원센터 내부에 해당 분야 전문 인력으로 구성된 '주택시장 정보분석실'을 신설·운영한다.
지수 개발 단계부터 자문을 응해온 이창무 한양대 교수는 "서울형 주택실거래가격지수가 데이터 활용도를 높여 시민에게 정확한 주택정보를 제공하고, 주택 통계의 신뢰도를 높이는 긍정적 역할을 할 것"이라고 기대했다.
유창수 서울시 행정2부시장은 "최근 전세사기 등의 가장 큰 원인 중 하나가 주택통계의 부정확성과 주택시장의 정보 불균형"이라며 "실제 일어난 거래 정보에 기반한 정확한 지표를 지속 개발해 주택시장 정보 불균형을 없애고, 주거약자의 권익을 지켜나가겠다"고 말했다.
/연합뉴스
서울형 주택실거래가격지수는 신고일을 기준으로 실거래가를 분석·공표하기까지 시차를 15일로 단축했다.
한국부동산원의 기존 실거래가지수는 계약일을 기준으로 지수를 산정하는 방식이라 공표 시차가 45일에서 최대 90일까지 발생해 실시간 시장 상황을 제때 파악하기 어려웠다.
이에 시는 부동산 가격 하락 등으로 시장의 불확실성이 커지는 상황에서 기존 지수의 한계를 보완해 실제 거래에 활용할 수 있는 데이터가 필요하다고 판단, 작년부터 실거래가 기반의 지표 개발을 추진했다.
시가 개발한 주택실거래가격지수는 ▲ 25개 자치구별 ▲ 주택유형(아파트·연립다세대)별 ▲ 주택면적별 ▲ 건축연한별 하부 시장지표를 제공해 시장 가격변화를 구체적으로 확인하는 데 도움을 준다.
시내 1천세대 이상 375개 아파트 단지의 가격변화를 반영한 '선도아파트 375지수' 지표를 활용하면 대규모 아파트 거래 경향까지도 파악할 수 있다.
현재는 다양한 기관들이 실거래가, 호가 등의 자료를 기초로 주택시장의 주·월 단위 지수를 생산해 공개한다.
그러나 시세 기반 지수는 조사자의 주관이 반영돼 실제 주택시장 상황을 반영하지 못하고 오히려 주택시장 심리 불안과 시장 왜곡 등을 초래한다는 지적이 제기됐다.
국가승인통계기관인 한국부동산원이 발표하는 표본가격지수(시세) 역시 조사원의 주관적 평가가 반영될 소지가 있어 객관적이고 정확하게 시장 상황을 설명하는 데 한계가 있었다.
시는 3월부터 서울형 주택실거래가격지수를 내부적으로 시범 운영한다.
동시에 외부 전문위원을 중심으로 한 '서울형 주택가격지수 검증위원회'를 구성해 데이터의 전문성과 공신력을 확보한 뒤 연내 시민에 공개하고 본격적으로 운영할 계획이다.
정식 운영을 시작하면 서울시주거포털 내 '전월세정보몽땅'과 민간 부동산 플랫폼 '부동산플래닛', 'R114' 등 플랫폼에서 해당 지수를 확인할 수 있다.
시는 매월 안정적인 지수 생산·활용을 위해 시 주택정책지원센터 내부에 해당 분야 전문 인력으로 구성된 '주택시장 정보분석실'을 신설·운영한다.
지수 개발 단계부터 자문을 응해온 이창무 한양대 교수는 "서울형 주택실거래가격지수가 데이터 활용도를 높여 시민에게 정확한 주택정보를 제공하고, 주택 통계의 신뢰도를 높이는 긍정적 역할을 할 것"이라고 기대했다.
유창수 서울시 행정2부시장은 "최근 전세사기 등의 가장 큰 원인 중 하나가 주택통계의 부정확성과 주택시장의 정보 불균형"이라며 "실제 일어난 거래 정보에 기반한 정확한 지표를 지속 개발해 주택시장 정보 불균형을 없애고, 주거약자의 권익을 지켜나가겠다"고 말했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