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학人] ① 대형참사 의료대응 전문가 김소은 교수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잼버리대회 앞둔 전북, 대형참사 사각지대 많아
맞춤형 재난대응훈련 강화 필요…"지휘체계 등 개선해야"
[※ 편집자 주 = 학력인구 감소로 인해 지방 대학들은 존폐 위기를 맞고 있습니다.
대학들은 학과 통폐합, 산학협력, 연구 특성화 등으로 위기에 맞서고 있습니다.
위기 속에서도 지방대의 경쟁력을 높이기 위해 고군분투하는 대학 구성원들을 캠퍼스에서 종종 만나곤 합니다.
연합뉴스는 전북도내 대학들과 함께 훌륭한 연구와 성과를 보여준 교수와 연구자 또 학생들을 매주 한 차례씩 소개하는 기획을 마련했습니다.
] "현재 재난대응체계로는 잼버리대회 같은 큰 국제행사를 치르기에는 부족한 점이 있기 때문에 잼버리대회에 맞춘 재난의료대응 훈련이 시급합니다.
"
올해 8월 1∼12일 전북 새만금에서 치러지는 제25회 세계스카우트 잼버리대회에 170개국에서 5만여 명의 참가자가 몰릴 것으로 예상하는 가운데 전북대 응급의학과 김소은 교수는 18일 잼버리대회 맞춤형 재난대응훈련이 필요하다고 역설했다.
이태원 참사 이후 대규모 인파가 몰리는 데 대한 경각심이 커지면서 재난대응시스템의 중요성도 점차 커지고 있다.
김 교수는 "대형참사는 발생 전까지 심각성이 잘 부각되지 않는다"면서 "물론 대형참사가 발생하지 않으면 가장 좋지만, 우리는 만약에 사태에 늘 대비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특히 잼버리대회같이 큰 국제행사는 많은 돌발 상황이 발생할 수 있기 때문에 행사 현장과 대회 특성에 맞는 재난대응시스템이 필요하다고 김 교수는 설명했다.
김 교수는 소속 대학인 전북대에서 응급의학과 교수로 관련 연구를 하고, 도내 지자체와 협력해 종합재난대응훈련을 진행하는 등 재난대응시스템 마련에 7년 넘게 헌신하고 있다.
다년간의 연구와 현장 경험을 쌓은 김 교수는 재난의료대응 전문가로서 '도민 생명 지킴이' 역할을 해왔다.
김 교수는 현재 재난대응시스템의 가장 큰 문제는 현장 재난의료대응의 지휘권과 책임이 보건소장에게 집중되는 데 있다고 지적했다.
현행법에 따르면 행정안전부 소속인 119대원들이 현장에 도착해 사태가 심각하다고 판단되면 119 종합상황실에 보고하고, 119종합상황실은 보건복지부 산하 중앙응급의료센터 재난상황실에 지원 요청을 해 권역응급의료센터 재난지원의료팀(DMAT)과 보건소 신속대응반의 지원을 받게 돼 있다.
재난 현장에 대한 지휘권은 해당 지역 보건소장에게 위임된다.
문제는 행정 업무를 주로 하는 보건소장이 의료 행위가 일어나는 병원과 구급대에 대한 이해가 부족해 현장 지휘를 하기에 역부족이라는 점이다.
특히 행정직인 보건소장은 보직 이동 주기가 짧고, 또 이로 인해 전문 지식을 갖추기도 어려운 형편이다.
만약 잼버리대회가 열리는 새만금에서 재난 상황이 발생하면 현장 지휘 책임은 관련 지자체인 부안과 군산의 보건소장에 있다.
두 지역은 도내 권역응급의료센터가 있는 전주와 익산에서 물리적인 거리가 멀기 때문에 재난 상황이 발생할 경우 즉각적인 대응이 어렵다.
그는 "대형참사가 발생하면 소방, 권역응급의료센터, 지자체 보건소 등이 현장에 출동하도록 시스템이 갖춰져 있지만, 실제 현장에서 의료대응이나 환자 이송 등은 소방과 응급의료센터 재난지원의료팀이 맡아서 한다"며 "그러다 보니 보건소장이 평소 응급의료 인력에 대한 현황 파악이나 관련 지식이 없다면 현장을 지휘하기 어려워진다"고 역설했다.
이어 "보건소장이 사전 준비 없이 대형참사 현장의 재난의료대응을 책임지게 되면 현장의 혼란은 더 가중되는 일이 이태원 참사를 비롯한 이전 참사 현장에서 지속해서 발생했다"며 "잼버리대회가 열리는 새만금 역시 비슷한 상황이 연출되지 않도록 대비를 철저히 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이런 문제점은 고스란히 대형참사 위험도를 높이게 되고, 재난대응의 사각지대가 된다.
김 교수는 문제 해결방안에 대해 "보건소장이 전체적인 컨트롤타워 역할을 하되 의료진에게도 일부 현장 지휘권과 권한이 위임돼야 한다"면서 "또 보건소장이 지역 내 소방 및 응급의료 인력에 대한 리스트를 파악하는 등 관련 기관 간 스킨십도 늘려야 한다"고 답했다.
아울러 "재난대응은 평소 얼마나 많은 훈련이 돼 있느냐에 따라 성패가 갈린다"면서 "이제 6개월여로 다가온 잼버리대회에 맞춰 종합적인 재난의료대응 훈련이 이뤄져야 한다"고 덧붙였다.
그는 또 재난 전문 인력 양성에도 지자체와 의료 기관들이 힘을 쏟아야 한다고 촉구했다.
김 교수는 "보건소장이 현장 지휘를 갑작스럽게 맡았을 때 조언해줄 수 있는 재난 전문 행정가나 보좌진이 갖춰져 있다면 혼란을 크게 줄일 수 있다"면서 "의료 기관들 역시 의료진을 대상으로 재난 의료 교육을 확대하는 등 인재 양성에 공을 들여야 한다"고 강조했다.
/연합뉴스
맞춤형 재난대응훈련 강화 필요…"지휘체계 등 개선해야"
[※ 편집자 주 = 학력인구 감소로 인해 지방 대학들은 존폐 위기를 맞고 있습니다.
대학들은 학과 통폐합, 산학협력, 연구 특성화 등으로 위기에 맞서고 있습니다.
위기 속에서도 지방대의 경쟁력을 높이기 위해 고군분투하는 대학 구성원들을 캠퍼스에서 종종 만나곤 합니다.
연합뉴스는 전북도내 대학들과 함께 훌륭한 연구와 성과를 보여준 교수와 연구자 또 학생들을 매주 한 차례씩 소개하는 기획을 마련했습니다.
] "현재 재난대응체계로는 잼버리대회 같은 큰 국제행사를 치르기에는 부족한 점이 있기 때문에 잼버리대회에 맞춘 재난의료대응 훈련이 시급합니다.
"
올해 8월 1∼12일 전북 새만금에서 치러지는 제25회 세계스카우트 잼버리대회에 170개국에서 5만여 명의 참가자가 몰릴 것으로 예상하는 가운데 전북대 응급의학과 김소은 교수는 18일 잼버리대회 맞춤형 재난대응훈련이 필요하다고 역설했다.
이태원 참사 이후 대규모 인파가 몰리는 데 대한 경각심이 커지면서 재난대응시스템의 중요성도 점차 커지고 있다.
김 교수는 "대형참사는 발생 전까지 심각성이 잘 부각되지 않는다"면서 "물론 대형참사가 발생하지 않으면 가장 좋지만, 우리는 만약에 사태에 늘 대비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특히 잼버리대회같이 큰 국제행사는 많은 돌발 상황이 발생할 수 있기 때문에 행사 현장과 대회 특성에 맞는 재난대응시스템이 필요하다고 김 교수는 설명했다.
김 교수는 소속 대학인 전북대에서 응급의학과 교수로 관련 연구를 하고, 도내 지자체와 협력해 종합재난대응훈련을 진행하는 등 재난대응시스템 마련에 7년 넘게 헌신하고 있다.
다년간의 연구와 현장 경험을 쌓은 김 교수는 재난의료대응 전문가로서 '도민 생명 지킴이' 역할을 해왔다.
김 교수는 현재 재난대응시스템의 가장 큰 문제는 현장 재난의료대응의 지휘권과 책임이 보건소장에게 집중되는 데 있다고 지적했다.
현행법에 따르면 행정안전부 소속인 119대원들이 현장에 도착해 사태가 심각하다고 판단되면 119 종합상황실에 보고하고, 119종합상황실은 보건복지부 산하 중앙응급의료센터 재난상황실에 지원 요청을 해 권역응급의료센터 재난지원의료팀(DMAT)과 보건소 신속대응반의 지원을 받게 돼 있다.
재난 현장에 대한 지휘권은 해당 지역 보건소장에게 위임된다.
문제는 행정 업무를 주로 하는 보건소장이 의료 행위가 일어나는 병원과 구급대에 대한 이해가 부족해 현장 지휘를 하기에 역부족이라는 점이다.
특히 행정직인 보건소장은 보직 이동 주기가 짧고, 또 이로 인해 전문 지식을 갖추기도 어려운 형편이다.
만약 잼버리대회가 열리는 새만금에서 재난 상황이 발생하면 현장 지휘 책임은 관련 지자체인 부안과 군산의 보건소장에 있다.
두 지역은 도내 권역응급의료센터가 있는 전주와 익산에서 물리적인 거리가 멀기 때문에 재난 상황이 발생할 경우 즉각적인 대응이 어렵다.
그는 "대형참사가 발생하면 소방, 권역응급의료센터, 지자체 보건소 등이 현장에 출동하도록 시스템이 갖춰져 있지만, 실제 현장에서 의료대응이나 환자 이송 등은 소방과 응급의료센터 재난지원의료팀이 맡아서 한다"며 "그러다 보니 보건소장이 평소 응급의료 인력에 대한 현황 파악이나 관련 지식이 없다면 현장을 지휘하기 어려워진다"고 역설했다.
이어 "보건소장이 사전 준비 없이 대형참사 현장의 재난의료대응을 책임지게 되면 현장의 혼란은 더 가중되는 일이 이태원 참사를 비롯한 이전 참사 현장에서 지속해서 발생했다"며 "잼버리대회가 열리는 새만금 역시 비슷한 상황이 연출되지 않도록 대비를 철저히 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이런 문제점은 고스란히 대형참사 위험도를 높이게 되고, 재난대응의 사각지대가 된다.
김 교수는 문제 해결방안에 대해 "보건소장이 전체적인 컨트롤타워 역할을 하되 의료진에게도 일부 현장 지휘권과 권한이 위임돼야 한다"면서 "또 보건소장이 지역 내 소방 및 응급의료 인력에 대한 리스트를 파악하는 등 관련 기관 간 스킨십도 늘려야 한다"고 답했다.
아울러 "재난대응은 평소 얼마나 많은 훈련이 돼 있느냐에 따라 성패가 갈린다"면서 "이제 6개월여로 다가온 잼버리대회에 맞춰 종합적인 재난의료대응 훈련이 이뤄져야 한다"고 덧붙였다.
그는 또 재난 전문 인력 양성에도 지자체와 의료 기관들이 힘을 쏟아야 한다고 촉구했다.
김 교수는 "보건소장이 현장 지휘를 갑작스럽게 맡았을 때 조언해줄 수 있는 재난 전문 행정가나 보좌진이 갖춰져 있다면 혼란을 크게 줄일 수 있다"면서 "의료 기관들 역시 의료진을 대상으로 재난 의료 교육을 확대하는 등 인재 양성에 공을 들여야 한다"고 강조했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