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게티이미지뱅크
사진=게티이미지뱅크
국내 증시가 본격적인 4분기 실적 시즌을 맞이한 가운데 삼성전자가 저조한 실적에도 주가가 상승곡선을 그리면서 주목받고 있다. 실적이 바닥을 찍고 곧 반등할 것이라는 기대가 모이면서다. 증권가에서는 주가 부진에도 상반기 실적 개선이 기대되는 종목에 주목하라고 조언했다.

○어닝쇼크에도 오른 코스피

10일 에프앤가이드에 따르면 4분기 잠정 실적을 발표하지 않은 상장사 247개의 영업이익 추정치는 27조8505억원으로 집계됐다. 1개월 전 28조9866억원과 비교해 3.9%가량 하락했다. 2021년 4분기 30조3367억원과 비교하면 8.19% 줄어들었다. 이미 실적을 발표한 삼성전자는 4분기 영업이익이 전년동기대비 69% 줄어든 4조3000억원, LG전자는 91% 줄어든 655억원에 그쳤다.

부진한 실적을 발표했음에도 삼성전자, LG전자의 주가는 오히려 오름세를 보이고 있다. 삼성전자는 4분기 실적을 발표한 지난 6일부터 이날까지 주가가 3.42%, LG전자는 5.76% 올랐다. 반도체·가전 업황의 부진에도 불구하고 실적 하향세가 ‘바닥’을 찍고 반등할 것이라는 기대가 퍼지면서다. 코스피지수도 같은 기간 3.6% 상승했다.

4분기 어닝쇼크가 ‘일상적’이었다는 것을 고려하면 1분기 주가 상승에 더욱 기대를 걸만하다는 게 전문가들의 설명이다. 한화투자증권에 따르면 2001년 이후 유가증권시장에서 4분기 합계 영업이익 컨센서스(증권사 전망치 평균)와 실제 영업이익 차이는 평균 –21.8%로 집계됐다. 4분기 어닝쇼크를 기록하지만 이듬해 주가는 대부분 상승세를 기록했다는 설명이다.

박승영 한화투자증권 연구원은 “큰 폭의 어닝 쇼크 이후 주가가 반등한 경험칙이 반복된다면 현재 코스피지수는 매수하기에 적절한 수준”이라고 했다.

○"低 밸류 종목, 더 오른다"

증권가에서는 4분기 실적이 부진했지만 향후 실적 개선이 기대되는 종목에 주목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삼성증권은 경기 회복과 중국 리오프닝(경제활동 재개) 수혜를 볼 종목으로 LG전자, 대한유화, 삼성전기 등을 꼽았다. LG전자는 유가 하락으로 물류비 부담 완화에 따른 가전 부문 이익이 정상화되고, 전장 부문 역시 영업이익이 증가할 것으로 예상됐다.

대한유화는 에틸렌 업황 정상화, 삼성전기는 중국 내 스마트폰 수요 회복이 실적 개선 요인으로 꼽혔다. 엔씨소프트 역시 4분기 실적이 부진했지만 최근 중국에서 한국산 게임에 대한 외자판호 발급이 재개되면서 실적이 개선될 것으로 예상됐다.

하나증권은 주가 하락으로 주가순자산비율(PBR)이 낮아져 밸류에이션(실적 대비 주가) 매력이 높아진 중목이 특히 강세를 보일 것이라고 전망했다. 이러한 종목으로는 GS건설, 코스맥스, 넷마블 등을 꼽았다. GS건설의 이날 기준 12개월 선행 PBR은 0.35배, 코스맥스는 1.22배, 넷마블은 0.77배 수준으로 2005년 이후 평균 PBR 수준보다 낮았다.

이재만 하나증권 연구원은 “중국의 경기가 회복되면 국내 수출이 회복될 것으로 예상한다”며 “영업이익 개선 초기 국면에서는 PBR을 기준으로 밸류에이션 매력이 높은 종목을 골라야 한다”고 했다.

배태웅 기자 btu104@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