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화진 환경부 장관(왼쪽 다섯번째), 경계현 삼성전자 대표(왼쪽 여섯번째) 등이 30일 삼성전자 화성캠퍼스에서 열린 '하수처리수 재이용 활성화를 위한 업무협약 체결식'에 참석했다. 삼성전자 제공
한화진 환경부 장관(왼쪽 다섯번째), 경계현 삼성전자 대표(왼쪽 여섯번째) 등이 30일 삼성전자 화성캠퍼스에서 열린 '하수처리수 재이용 활성화를 위한 업무협약 체결식'에 참석했다. 삼성전자 제공
삼성전자가 환경부, 경기도, 5개 지방자치단체(수원·용인·화성·평택·오산시), 한국수자원공사, 한국환경공단과 '하수처리수 재이용 활성화를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했다고 30일 발표했다. 이날 삼성전자 화성캠퍼스에서 열린 협약식엔 한화진 환경부 장관, 염태영 경기도 경제부지사, 이재준 수원시장, 경계현 삼성전자 대표(사장) 등이 참석했다.

협약에 따라 각 지자체 하수처리장에서 처리된 물 47만4000t이 매일 삼성전자 반도체공장에 공급된다. 일일 물 공급량은 인구 143만명인 광주의 하루 수돗물 사용량과 맞먹는다.

삼성전자는 하수처리장에서 받은 물을 추가로 처리해 '초순수'로 만들어 반도체를 생산하는 데 사용할 예정이다. 지난 9월 국내 사업장 '물 취수량 증가 제로화'를 선언한 삼성전자는 그간 취수량을 늘리지 않으면서 공업용수를 안정적으로 확보할 방안을 모색해왔다.

이번 하수처리수 공급은 삼성전자 요청으로 이뤄졌다. 삼성전자는 물을 공급하는 지자체에 비용을 지불한다. 경 대표는 "초순수라는 깨끗한 물이 필요한 반도체 산업에서 하수 재이용수를 사용한다는 것은 큰 패러다임의 변화"라며 "혁신적인 용수 재이용 기술을 개발해 정부, 지자체와 수자원 보전을 위해 함께 노력해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황정수 기자 hjs@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