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계연구원 연구팀…소량 검체만 반복 가열·냉각해 유전자 증폭
'로봇 이용 비대면 검체 채취부터 진단까지 40분' 시스템 개발
한국기계연구원은 코로나19 등 의료현장에서 로봇을 이용해 비대면으로 검체를 채취하고, 이를 40분 이내 진단할 수 있는 통합 시스템을 개발했다고 3일 밝혔다.

대구융합기술연구센터 연구팀이 개발한 '검체 채취 로봇 일체형 고속 전자동 분자진단 시스템'은 소량 검체만을 반복 가열·냉각해 유전자를 증폭하는 새로운 고속 열주기 기술이다.

검체 전체를 반복 가열·냉각하는 기존 분자 진단 장비보다 4.2배 빠른 속도로 9∼20분 이내 실시간 유전자 증폭(PCR) 검사 결과를 얻을 수 있다.

연구팀이 병원성 살모넬라 박테리아 DNA와 감염성 코로나바이러스 RNA로 검증한 결과, 검체 채취부터 분자진단까지 박테리아 DNA는 25분, 코로나바이러스 RNA는 40분 이내 분석을 완료했다.

분자 진단 결과는 기존 분자진단 장비로 한 것과 거의 같았다고 연구팀은 설명했다.

이 시스템은 비대면으로 검체 채취 후 검체 정량 주입, 유전자 추출 전처리, 고속 분자진단 등 전 과정에 전자동 진단 기술이 적용돼 현장에서 비숙련자도 쉽게 사용할 수 있다.

이를 선별진료소와 공항, 응급환경 등 의료현장에서 활용하면 신·변종 감염병 확산을 신속하게 예방할 수 있을 것으로 연구팀은 전망했다.

이동규 책임연구원은 "기존에는 대면 검체 채취와 이송, 분자진단까지 완료하는 과정에 6∼12시간이라는 적지 않은 시간이 소요됐다"며 "이번에 개발한 시스템을 활용하면 신·변종 감염병 확산을 예방하고, 의료진과 국민의 건강을 지킬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