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계대출 금리 고공행진…10년 만에 연 5% 넘었다
기준금리 인상과 시장금리 상승이 이어지면서 지난달 은행권의 가계대출 평균 금리가 연 5%를 넘어섰다. 가계대출 평균 금리가 연 5%를 돌파한 것은 10여년 만에 처음이다.

한국은행이 28일 발표한 9월 금융기관 가중평균 금리에 따르면 지난달 예금은행의 가계대출 금리(가중평균·신규취급액 기준)는 연 5.15%로, 한 달 사이 0.39%포인트 올랐다. 가계대출 평균 금리가 연 5%대를 넘어선 것은 2012년 7월(연 5.2%) 이후 10년 2개월 만이다.

가계대출 중에서 주택담보대출 금리는 이 기간 0.44%포인트 오른 연 4.79%, 일반 신용대출 금리는 0.38%포인트 상승한 연 6.62%를 기록했다. 주택담보대출은 2012년 5월(4.85%), 신용대출은 2013년 3월(6.62%) 이래 가장 높은 수준이다.

예금은행의 가계대출 가운데 9월 신규취급액 기준 고정금리 비중은 24.0%로 8월(24.5%)보다 0.5%포인트 떨어졌다. 한은 관계자는 "보금자리론 등 고정금리 적용 정책모기지 상품의 신규 취급액이 줄어들면서 고정금리 비중도 감소했다"고 설명했다.
가계대출 금리 고공행진…10년 만에 연 5% 넘었다
기업 대출 금리는 0.2%포인트 오른 연 4.66%로 나타났다. 이는 역대 최고치인 2013년 12월(연 4.67%)에 근접한 수치다. 대기업 대출 금리는 0.15%포인트 상승한 연 4.38%, 중소기업 대출 금리는 0.22%포인트 오른 연 4.87%를 기록했다.

예금은행의 전체 대출금리는 전달 (4.52%)보다 0.19%포인트 높은 4.71%로 집계됐다.

예금은행의 저축성 수신(예금) 평균 금리는 0.4%포인트 오른 연 3.38%로 나타났다. 2012년 7월(3.43%) 이후 10년 2개월 만에 가장 높은 수준이다. 특히 정기예금 등 순수저축성예금 금리(3.35%)가 1개월 만에 0.44%포인트나 뛰었다. 지난 7월(0.51%포인트) 이후 최대폭이다.

박창현 한은 경제통계국 금융통계팀장은 "기준금리 인상뿐 아니라 유동성커버리지비율(LCR) 규제 충족을 위한 수신 경쟁도 예금 금리 인상에 영향을 미쳤다"고 전했다.

조미현 기자 mwise@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