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달러 환율 변동에 최근 6개월간 무역적자 20억달러 축소"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KDI "원화가치 하락에 수출입 모두 감소하나 수입 감소폭 더 커"
"한국 제외 다른 통화 약세가 동기간 무역적자 80억달러 늘려" 원/달러 환율 상승에 최근 2개 분기 무역적자 폭이 20억달러 줄었다는 국책연구원의 분석이 제기됐다.
다만 한국을 제외한 다른 국가의 통화도 달러 대비 약세를 보이면서 무역적자 규모를 80억달러 늘린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개발연구원(KDI) 김준형 경제전망실 연구위원은 26일 "올해 2∼3분기 글로벌 달러화 강세는 전반적인 교역을 위축시키는 가운데 한국의 무역수지 적자를 60억달러 확대하는 요인으로 작용했다"며 이같이 밝혔다.
김 연구위원은 환율이 상품 수출입과 무역수지에 미치는 영향을 원/달러 환율의 변동과 한국을 제외한 다른 국가 통화의 환율 변동으로 나눠서 살폈다.
2000년∼2021년을 분석한 결과 원화가치의 하락은 단기간(1년 뒤) 달러 기준 수출입금액을 모두 줄였으나 수입금액의 감소 폭이 더 컸다.
원화가치 하락에 따른 수출품의 가격 하락은 조정을 거치는 동안, 수입품 가격 상승으로 수입 물량은 줄어든 결과다.
중기적으로는(2년 뒤) 수출 물량이 늘어 달러 기준 수출금액이 점진적으로 늘어났으며, 수입금액의 감소세는 둔화했다.
이는 원화가치의 하락이 수입금액 감소 등을 통해 무역흑자 폭을 확대하는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으며, 그 영향은 중기로 갈수록 수출금액 증가 등을 통해 커진다는 것을 시사한다.
달러 가치가 다른 모든 통화 대비 상승하는 경우 단기적으로는 수출입물량을 크게 줄여 달러 기준 수출입금액이 모두 감소했다.
달러 가치가 오르면 각 국가의 자국통화 기준 가격이 상승하면서 수입 물량이 줄어든 결과다.
이는 한국의 입장에서 수출의 감소를 뜻한다.
지난해 기준 상품수출의 84%, 상품수입의 81%가 달러화로 결제되는 점을 고려하면 달러의 영향은 더 커진다.
글로벌 달러화 강세는 수출 둔화 등을 통해 무역적자 확대에 기여하게 되는 것이다.
다만 달러 가치 상승에 따른 수출입 영향은 시간이 지날수록 약화했다.
이러한 결과를 고려해 달러화 가치가 급등하기 시작한 지난 2분기부터 살펴보면, 3분기까지 원/달러 환율의 변동은 무역수지 적자 폭을 20억달러 줄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원/달러 환율이 변동하지 않았다면 무역적자가 20억달러 더 확대됐음을 의미한다.
반면 한국을 제외한 다른 국가의 달러 대비 환율 변동은 같은 기간 무역적자 폭을 80억달러 확대하는 데 기여했다.
그 결과 글로벌 달러화 강세에 따른 영향은 무역적자를 60억달러 늘렸다는 게 보고서의 분석이다.
다만 중기적으로 봤을 때 이 기간 환율의 변동은 지난 2분기부터 2024년 2분기까지 2년간 무역흑자를 68억달러 늘릴 것으로 분석됐다.
김 연구위원은 "분석 결과에서는 환율 변동이 무역수지 불균형을 완화하는 역할을 수행하고 있음을 상기하고 있다"며 "외환시장이 원활하게 작동하는 한 환율이 외환시장의 수급 여건에 맞게 자율적으로 결정되도록 어느 정도는 용인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그는 다만 "최근의 원화가치 하락은 수입물가 상승으로 이어지며 국내 인플레이션(물가 상승) 압력으로 작용하고 있다"며 "거시경제 안정을 위한 정책과 함께 환율 급등에 따른 수입물가 상승으로 어려움을 겪고 있는 취약계층 보호를 위한 정책도 병행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연합뉴스
"한국 제외 다른 통화 약세가 동기간 무역적자 80억달러 늘려" 원/달러 환율 상승에 최근 2개 분기 무역적자 폭이 20억달러 줄었다는 국책연구원의 분석이 제기됐다.
다만 한국을 제외한 다른 국가의 통화도 달러 대비 약세를 보이면서 무역적자 규모를 80억달러 늘린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개발연구원(KDI) 김준형 경제전망실 연구위원은 26일 "올해 2∼3분기 글로벌 달러화 강세는 전반적인 교역을 위축시키는 가운데 한국의 무역수지 적자를 60억달러 확대하는 요인으로 작용했다"며 이같이 밝혔다.
김 연구위원은 환율이 상품 수출입과 무역수지에 미치는 영향을 원/달러 환율의 변동과 한국을 제외한 다른 국가 통화의 환율 변동으로 나눠서 살폈다.
2000년∼2021년을 분석한 결과 원화가치의 하락은 단기간(1년 뒤) 달러 기준 수출입금액을 모두 줄였으나 수입금액의 감소 폭이 더 컸다.
원화가치 하락에 따른 수출품의 가격 하락은 조정을 거치는 동안, 수입품 가격 상승으로 수입 물량은 줄어든 결과다.
중기적으로는(2년 뒤) 수출 물량이 늘어 달러 기준 수출금액이 점진적으로 늘어났으며, 수입금액의 감소세는 둔화했다.
이는 원화가치의 하락이 수입금액 감소 등을 통해 무역흑자 폭을 확대하는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으며, 그 영향은 중기로 갈수록 수출금액 증가 등을 통해 커진다는 것을 시사한다.
달러 가치가 다른 모든 통화 대비 상승하는 경우 단기적으로는 수출입물량을 크게 줄여 달러 기준 수출입금액이 모두 감소했다.
달러 가치가 오르면 각 국가의 자국통화 기준 가격이 상승하면서 수입 물량이 줄어든 결과다.
이는 한국의 입장에서 수출의 감소를 뜻한다.
지난해 기준 상품수출의 84%, 상품수입의 81%가 달러화로 결제되는 점을 고려하면 달러의 영향은 더 커진다.
글로벌 달러화 강세는 수출 둔화 등을 통해 무역적자 확대에 기여하게 되는 것이다.
다만 달러 가치 상승에 따른 수출입 영향은 시간이 지날수록 약화했다.
이러한 결과를 고려해 달러화 가치가 급등하기 시작한 지난 2분기부터 살펴보면, 3분기까지 원/달러 환율의 변동은 무역수지 적자 폭을 20억달러 줄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원/달러 환율이 변동하지 않았다면 무역적자가 20억달러 더 확대됐음을 의미한다.
반면 한국을 제외한 다른 국가의 달러 대비 환율 변동은 같은 기간 무역적자 폭을 80억달러 확대하는 데 기여했다.
그 결과 글로벌 달러화 강세에 따른 영향은 무역적자를 60억달러 늘렸다는 게 보고서의 분석이다.
다만 중기적으로 봤을 때 이 기간 환율의 변동은 지난 2분기부터 2024년 2분기까지 2년간 무역흑자를 68억달러 늘릴 것으로 분석됐다.
김 연구위원은 "분석 결과에서는 환율 변동이 무역수지 불균형을 완화하는 역할을 수행하고 있음을 상기하고 있다"며 "외환시장이 원활하게 작동하는 한 환율이 외환시장의 수급 여건에 맞게 자율적으로 결정되도록 어느 정도는 용인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그는 다만 "최근의 원화가치 하락은 수입물가 상승으로 이어지며 국내 인플레이션(물가 상승) 압력으로 작용하고 있다"며 "거시경제 안정을 위한 정책과 함께 환율 급등에 따른 수입물가 상승으로 어려움을 겪고 있는 취약계층 보호를 위한 정책도 병행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