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 바이오서밋 2일차…"연구개발부터 각국 조율·협력해야"
감염병 유행 국제협력 약속하는 '서울선언문' 채택 예정
조규홍 장관 "미래 팬데믹 대응 역량 업그레이드해야"
조규홍 보건복지부 장관은 '2022 세계 바이오서밋' 이틀차인 26일 "이제는 지난 경험을 되돌아보면서 팬데믹 대비·대응 역량을 업그레이드할 수 있도록 힘을 모아야 할 때"라며 팬데믹 대응 국제 협력을 강조했다.

조 장관은 이날 서울 광진구 그랜드워커힐서울에서 열린 세계 바이오서밋 행사에 참석, 환영사를 통해 "우리는 코로나19 대응 과정에서 국제공조의 중요성을 무겁게 받아들이고 있다"며 이같이 말했다.

그는 "코로나19 팬데믹 기간 각국 정부, 국제기구는 백신과 바이오의약품 개발에 대한 지원과 투자를 확대했지만, 백신과 의약품 개발은 우수한 연구인력, 오랜 기간과 막대한 연구자금이 필요해 그 장벽이 매우 높다"며 "최적의 투자방안과 효율적 개발전략을 모색해야 하며, 전 세계 차원에서 조율된 연구 협력을 추진해야 한다"고 했다.

이어 생산에서 유통, 접종까지 전 과정의 공급망 구축, 각국의 규제·심사역량 구비 등에 대한 글로벌 차원의 협력방안이 필요하다고 언급했다.

조 장관은 또 "올해 처음으로 개최되는 세계 바이오 서밋이 기술혁신 중심의 미래 팬데믹 대응 전략이 논의되고 도출되는 장으로 자리매김하기를 기대한다"고 했다.

'세계 바이오서밋'은 코로나19 팬데믹을 계기로 한국 정부와 세계보건기구(WHO)가 공동 주최하는 행사로, 올해 처음으로 개최됐다.

조규홍 장관 "미래 팬데믹 대응 역량 업그레이드해야"
둘째날인 이날 행사에서 참가자들은 ▲ 각국의 코로나19 극복 노력과 메신저 리보핵산(mRNA) 기술이전 허브 및 글로벌 바이오 인력양성 허브에 대한 기대 ▲ 포스트 코로나 대비를 위한 백신·치료제 연구개발(R&D) 투자 전략 ▲ 미래팬데믹 대응을 위한 국제적 노력 및 협력 필요성 ▲ 백신 소재·부품·장비 공급망 안정화 ▲ 글로벌 진단기기 개발 현황 및 전망 ▲ 백신·바이오의약품 규제협력 등 6개 세션에서 미래 팬데믹 대응을 위한 국제 협력 방안을 논의한다.

이외에도 '국제 보건위기 대응을 위한 백신·치료제·원부자재 기업의 협업과 성장'을 주제로 한 글로벌 원탁회의도 열린다.

참가자들은 국제 협력에 기반한 감염병 유행 대응을 약속하는 '서울선언문'을 채택할 계획이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