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가인권위원회는 30개 정부 부처와 17곳 광역자치단체장에게 인권위가 마련한 지침에 따라 공공기관이 인권경영 결과를 보고·공시하게 하도록 권고했다고 16일 밝혔다.
인권위는 또 향후 공공기관 경영평가를 할 때 이 지침에 따라 인권경영을 독립적인 항목으로 추가할 것을 권고했다.
ADVERTISEMENT
인권위는 공공기관 1천600여 곳의 인권경영 관련 경영실적 평가 편람을 분석한 결과 대부분의 공공기관이 인권경영 체계를 구축하기는 했으나 운영 실효성이 떨어진다고 지적했다.
기관마다 인권경영 평가 세부 항목과 배점이 다르고 평가 기준도 모호해 평가 결과의 신뢰성과 타당성에 의문이 제기될 소지가 크다는 것이다.
특히 조사 대상이 된 공공기관의 90% 이상이 사업 후에 인권영향평가를 수행하고 있으나, 기관별로 주요 사업에 인권영향평가를 이행하는 비율은 50%를 밑도는 것으로 나타났다.
ADVERTISEMENT
인권영향평가란 기업이 자체 점검을 통해 경영 활동에서 발생하는 인권 침해 요소를 식별하고, 그 요소를 예방·구제할 정책을 수립해 실행·모니터링·공개하는 일련의 과정을 말한다.
이에 인권위는 공공기관들이 인권경영 이행 사항을 빠짐없이 보고하게 하고, 보고서 작성 부담을 줄이는 동시에 평가 내용의 편차를 줄이기 위해 '인권경영 보고 및 평가 지침'을 마련해 적용하도록 권고했다.
유엔과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등 국제기구는 국가가 공공기관 인권영향평가 등을 통해 공공기관의 인권 존중 실현을 견인할 의무가 있다고 강조하고 있다.
ADVERTISEMENT
인권위는 "공공기관이 업무수행 과정에서 인권을 침해하거나 그에 관여할 경우 국가의 인권침해로 직접 연결될 수 있는 만큼, 공공기관은 민간보다 높은 수준의 인권 보호 책임이 요구된다"며 "이번 권고를 계기로 모든 공공기관이 인권경영을 강화하고 원활히 수행하기 위한 체계를 구축하기를 기대한다"고 밝혔다.
청송군 산불이 재발화하면서 일부 지역에서 주민 대피령이 나왔다. 경북 청송군은 30일 오전 3시 34분께 부남면 감연리, 대천리 주민에게 남천생활문화센터 등 안전한 곳으로 피하라는 대피 명령을 내렸다. 군은 "파천면 신흥리 산불이 재발화해 확산하고 있다"고 명령 이유를 설명했다. 군과 산림당국에 따르면 지난 28일 오전 주불진화 선언됐던 부남면 감연리와 파천면 신흥리 넓은등 주변에서 이날 새벽 잔불이 되살아났다. 군청 직원들은 해당 지역 주민의 대피를 돕는 한편, 산림·소방당국과 진화 작업을 벌이고 있다. 산림 당국은 주불은 진화됐지만 완전히 꺼지지 않은 잔불이 되살아나고 있다며 진화헬기와 진화대를 투입, 주민 피해가 발생하지 않도록 만전을 기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김소연 한경닷컴 기자 sue123@hankyung.com
경남 산청 산불이 9일째에 접어든 가운데 일몰 전 주불 진화에 실패한 지리산권역에 대한 진화작업이 이날 밤에도 계속될 예정이다.29일 산림당국에 따르면 이날 오후 6시 기준 진화율은 99%다. 전날 하동권 주불 진화를 완료하며 마지막 화선이 형성된 지리산권역 방어선 구축을 강화하고, 인력·장비를 집중 배치해 진화작업을 이어갔지만 일몰 전 주불 진화에 실패했다. 당국은 야간 대응 태세에 돌입했다.앞서 산림당국은 일출과 동시에 헬기 55대와 인력 1598명, 차량 224대를 투입해 주불 진화에 집중했다. 그러나 화선이 형성된 구역은 경사가 40도에 달할 정도로 급하고 진입로가 없어 공중진화대, 특수진화대, 고성능 산불 진화차 등 인력 및 장비 투입이 어려웠던 것으로 전해졌다.또한 낙엽층 깊이만 최대 100cm에 그 무게는 ha당 300∼400t에 달하며 산불은 낙엽층을 연료 삼아 확산하는 '지중화' 양상을 보였다.일몰 이후 헬기는 모두 철수했다. 산림당국은 인력 996명과 장비 201대를 투입해 밤샘 진화를 이어갈 방침이다. 산불 영향 구역은 1858ha, 총 화선은 71.2km로 남은 길이는 지리산권역 0.4km 정도로 추정된다.산불로 인한 인명피해는 사망 4명, 중·경상 10명 등 총 14명이다. 주택 28개소, 공장 2개소, 종교시설 2개소 등 시설 83개소가 피해를 봤다.신용현 한경닷컴 기자 yonghyun@hankyung.com
연 매출 300억 기업가 강남구와 패션크리에이터 쥬니가 햄스터 꿈을 꾸고 강남구에 위치한 아파트를 매입했다고 밝혀 화제다.지난 26일 유튜브에 게시된 'MBN 속풀이쇼 동치미' 선공개 영상 '강남구&쥬니 부부, 햄스터가 출산하는 꿈 꾼후 유재석과 같은 아파트를 샀다?!' 콘텐츠에서 쥬니는 "어느 날 꿈을 꿨는데 꿈에 7마리 햄스터가 태어났다"고 말문을 열었다. 그는 "당시 햄스터를 입양한 지 얼마 안 됐을 때"였다며 "일어나 설마 하고 가보니 실제로 7마리의 새끼가 있었다"고 덧붙였다.쥬니는 "포털사이트에 해몽을 검색해보니 부동산과 관련됐다"며 "공교롭게도 그날 지금 사는 집을 보러 가기로 약속한 날 이었다"고 설명했다.쥬니는 "미분양의 좋은 아파트를 만나 무조건 계약해야 한다고 생각했는데 가격이 만만치 않았다"면서도 "남편한테 이 집은 무조건 계약하자고 했다"고 말을 이어갔다. 강남구는 쥬니의 햄스터 꿈 이야기를 듣고 다음날 바로 계약했다고 전했다.강남구는 "기운과 터 이런 걸 중요시 하는데 아파트에 정말 열심히 사는 분이 많다"며 "국민 MC 유재석, 골프 스타 박인비 이런 분들이 살고 있는데 마침 유재석과 같은 동에 자리가 났다. 그래서 큰 결심을 하고 샀다"고 말했다.'유재석 아파트'로 알려진 이곳은 서울 강남구 논현동 '브라이튼 N40'으로 148세대의 최고급 단지다. 유재석은 이 아파트 전용 199㎡(60.2평)의 펜트하우스를 86억 6570만원에 매입한 것으로 알려졌다. 유재석 외에 배우 오연서, 그룹 세븐틴 호시 등도 거주하고 있다. 전용 280㎡(84평)의 110억대 펜트하우스에는 문창기 이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