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로운 자폐증 유전자 변이 최초 발견…"치료제 개발 바탕 될 것"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유희정 분당서울대병원 교수 연구팀, 세계 최고 발견

유희정 분당서울대병원 정신건강의학과 교수 연구팀(유희정 교수, KAIST 의과학대학원 이정호 교수, 바이오및뇌공학과 최정균 교수, 기초과학연구원 김은준 단장,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이 자폐증을 가진 사람과 가족으로 이루어진 대규모 유전체 연구를 통해 낸 성과다.
ADVERTISEMENT
자폐증 발생에는 유전자의 변이가 큰 역할을 한다고 알려졌다. 그러나 다양한 유전자 변이 중 어떤 것이 가장 중요한지, 해당 유전자가 생애 초기 뇌발달에서 정확히 어떤 역할을 하는지에 대해 전세계적으로 아직 밝히지 못한 상태이다. 때문에 사회성 결핍이나 의사소통 장애 등 핵심 자폐증 증상을 개선할 수 있는 치료제를 개발할 수 없으며, 자폐 증상이 있는 사람의 가족은 충동성이나 불안 같은 증상이 있을 때 약물치료를 하는 것이 최선이다.
연구팀은 유전체 데이터의 98% 이상을 차지하고 있으나 단백질을 직접적으로 만들어내지 않기 때문에 그간 연구에서 배제되었던 유전체 영역인 비(非)부호화(Non-coding) 영역을 집중적으로 연구했다. 이를 위해 연구에 적합한 자폐증을 가진 사람 및 가족 813명으로부터 혈액을 공여 받아 유전체를 분석하고 인간 줄기세포를 제작해 태아기 신경세포를 재현했다.
ADVERTISEMENT
이번 연구는 기존 단백질을 부호화하는 영역에만 집중되었던 자폐증 연구 패러다임을 바꿀 수 있는 계기가 될 수 있다는 점에서 높은 학술적 의미를 가지고 있다. 또한 북미와 유럽 위주로 진행되던 자폐 유전체 연구에서 벗어나, 아시아 최초의 대규모 전장-유전체 데이터를 기반으로 하는 코호트를 구축하고 유전체 분석 모델 기틀을 마련했다는 의의가 있다.
유희정 교수는 “이번 연구는 우리나라 연구진이 한국인의 자폐증 당사자 및 가족 고유의 데이터를 활용해 자폐증의 비밀을 풀 수 있는 첫걸음을 내딛었다는 점에서 매우 의의가 있다”며 “해당 연구를 할 수 있도록 많은 도움을 주신 자폐증 당사자와 가족들의 헌신에 매우 감사하다”라고 전했다.
ADVERTISEMENT
김수진기자 sjpen@wowtv.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