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남미·유럽 등 25개국 도입…일정 수입 넘으면 최장 2년 허용
"노트북만 들고 오세요"…'재택근무 비자'로 휴양지 유입 확산
코로나19 사태로 해외 여행객이 급격히 줄어들면서 중남미와 유럽을 중심으로 원격근무 근로자에게 장기 체류 비자를 주는 나라가 늘어나고 있다고 BBC 방송이 11일(현지시간) 보도했다.

미 싱크탱크 이민정책연구소(MPI) 자료에 따르면 현재 약 25개국이 원격근무 근로자를 대상으로 이른바 '디지털 노마드 비자'를 발급하고 있다.

지역별로 살펴보면 중남미에서는 브라질, 아르헨티나, 바베이도스, 코스타리카, 파나마, 앤티가바부다 등이 원격근무 비자를 도입했다.

유럽에서는 그리스, 헝가리, 크로아티아, 에스토니아, 아이슬란드, 몰타, 키프로스, 조지아 등이 비자 발급 국가다.

아프리카에 있는 휴양지 모리셔스, 세이셸과 아시아 아랍에미리트, 스리랑카도 원격근무를 하는 사람을 위한 별도 비자 제도를 운용 중이다.

비자 명칭은 디지털 노마드 비자 외에 '원격근무 비자', '화이트 카드', '프리미엄 비자' 등으로 다양하지만, 도입 취지는 비슷하다.

일정한 고정 수입이 있는 사람에게 장기 체류 허가를 내주겠다는 것이다.

물론 비자 발급에 필요한 조건은 국가별로 다르다.

브라질에서는 월수입이 1천500달러(약 196만원)를 넘거나 은행에 1만8천 달러(2천350만원) 이상의 잔고가 있으면 되지만, 두바이에서는 월수입이 5천 달러(654만원)보다 많은 사람만 원격근무 비자를 받을 수 있다.

비자 발급에는 수수료 200∼2천 달러(26만∼262만원)가 든다.

체재 기간은 짧으면 6개월, 길면 2년이다.

원격근무 비자는 관광객이 줄면서 침체한 지역경제를 살리고, 새로운 문화 유입을 기대할 수 있는 정책이라고 BBC는 전했다.

업무 장소의 지리적 변화를 연구하는 프리스위라즈 초드리 하버드대 교수는 "외국에서 원격근무를 하는 사람은 지역에 돈을 쓰고, 지역 기업가와 친분을 쌓게 된다"며 칠레가 2010년 외국인 기업가를 초청하기 위해 시작한 '스타트업 칠레' 프로그램이 성과를 거둔 대표적 사례라고 설명했다.

다만 원격근무 외국인이 현지에 세금을 내지 않는다는 점은 갈등 요소가 될 수 있다는 분석도 있다.

BBC는 "세금을 꼬박꼬박 내는 지역 주민들은 납세 의무가 없는 원격근무 외국인들이 지역 시설과 서비스를 이용하는 데 대해 억울하게 생각할 수도 있다"고 짚었다.

/연합뉴스